21. 적절한 풀베기로 병 발생 또는 피해 확산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목병만을 나열한 것은? ① 소나무 혹병, 향나무 녹병 ② 곰솔 잎녹병, 전나무 잎녹병 ③ 전나무 빗자루병, 전나무 잎녹병 ④ 잣나무 털녹병, 오리나무 잎녹병 ⑤ 모과나무 붉은별무늬병, 회화나무 녹병
정답 : 3 해설 :
① 소나무 혹병, 향나무 녹병 - 소나무혹병 : 소나무와 곰솔 묘포 및 임지에 참나무류 수목을 제거 혹은 식재하지 않아야 함. - 향나무녹병 : 향나무 부근에는 배나무/사과나무/명자꽃/산사나무/산당화/윤노리나무/팥배나무 등 장미과식물을 심지 않도록 해야 함. ② 곰솔 잎녹병, 전나무 잎녹병 - 곰솔 잎녹병 : 주변에 졸참나무와 신갈나무 제거한다. - 전나무잎녹병 : 전나무 임지 부근에서 뱀고사리를 제거한다. ③ 전나무 빗자루병, 전나무 잎녹병 - 전나무 빗자루병 : 점나도나물류가 중간기주로 나와있긴 하나, 아직 중간기주 연구가 명확하지 않은 상태 - 전나무잎녹병 : 전나무 임지 부근에서 뱀고사리를 제거한다. ④ 잣나무 털녹병, 오리나무 잎녹병 - 잣나무 털녹병 : 송이풀, 까치밥나무를 주기적으로 제거. - 오리나무 잎녹병 : 묘포에서 병든 낙엽을 모아 태운다. (묘포 주변 낙엽송을 식재하지 않는다.) ⑤ 모과나무 붉은별무늬병,회화나무 녹병 - 모과나무 붉은별무늬병 : 모과나무 근처에 향나무를 심지 않는다. - 회화나무 녹병 : 병든 낙엽을 태우거나 땅속에 묻는다. 가지에 생긴 혹 발견즉시 제거.
녹병균
병명
녹병정자,녹포자세대
여름포자,겨울포자세대
암기
Cronartium ribicol
잣나무털녹병
잣나무
송이풀, 까치밥나무
잣송이까
C.quercuum
소나무혹병
소나무, 곰솔
졸참, 신갈나무
혹졸신
C.flaccidum
소나무 줄기녹병
소나무
모란, 작약, 송이풀
소줄모작송
Coleosporium asterum
소나무잎녹병
소나무
황벽, 잔대, 참취
잎황잔참
Gymnosporangiumasiaticum
향나무녹병
배나무
향나무
향배향
Melampsore larici-populina
포플러잎녹병
낙엽송
포플러(일본잎갈, 줄꽃, 현호색)
포낙현줄
Uredinopsis komagatakensis
전나무잎녹병
전나무
뱀고사리
전뱀
Chrysomyxa rhododendri
철쭉잎녹병
가문비나무
산철쭉
철가산
22. 뿌리혹선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구침을 가지고 있으며 알로 증식한다. ② 2기 유충이 뿌리에 침입하여 정착한다 ③ 감염한 기주식물에 거대세포 형성을 유도한다. ④ 밤나무, 아까시나무, 오동나무 등 주로 활엽수 묘목을 가해한다. ⑤ 차 탈피를 마치고 성충이 되면 암 4 수의 형태가 유사해진다.
정답 : 5 해설 :
① 구침을 가지고 있으며 알로 증식한다. - 알에서 2령 유충으로 부화한 후 뿌리에 침입하여 식물세포를 구침으로 가해. - 수컷은 뿌리밖으로 탈출, 암컷은 처녀생식으로 500개 정도의 알을 산란 ② 2기 유충이 뿌리에 침입하여 정착한다 - 2기(2령) 유충으로 뿌리에 침입하여 정착하면 소시지 형태로 변함 ③ 감염한 기주식물에 거대세포 형성을 유도한다. - 기생당한 세포와 주변 세포들이 융합하고 핵분열을 거듭하여 거대세포로 변함 ④ 밤나무, 아까시나무, 오동나무 등 주로 활엽수 묘목을 가해한다. - 밤나무, 아까시나무, 오동나무 등을 가해 (활엽수 피해 심!!) ⑤ 4차 탈피를 마치고 성충이 되면 암수의 형태가 유사해진다. - 수컷은 벌레모양으로 되어 뿌리 밖으로 나옴, 암컷은 성충이 된 후에도 몸이 계속 커진다.
23. Cercospora속 또는 Pseudocercospora속이 일으키는 수목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소나무 잎마름병은 주로 묘목에 발생한다. ② 때죽나무점무늬병균은 월동한 후 분생포자가 1차 전염원이 된다. ③ 느티나무흰무늬병균은 병반 안쪽에 분생포자경 및 분생포자가 밀생 한다. ④ 벚나무갈색무늬구멍병균은 흑색 돌기 형태의 분생포자퇴나 자낭각을 형성한다. ⑤ 무궁화 점무늬병이 심하게 발생하면 기주의 수세는 약해지나 개화에는 영향이 없다.
정답 : 5 해설 :
⑤ 무궁화 점무늬병이 심하게 발생하면 기주의 수세는 약해지나 개화에는 영향이 없다. - 무궁화에서 그리 심한 편은 아니지만, 잎이 지저분한 모습 - 조기낙엽되어 관상가치가 떨어짐 - 그늘진 곳에 밀식된 군락에서 흔히 발생 - 심한 경우에는 수세약화 및 개화가 불량해짐
24. 소나무류 병명과 병원체 속(genus)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혹병 – Cronartium ② 가지마름병 – Fusarium ③ 피목가지마름병 – Diplodia ④ 가지끝마름병 – Sphaeropsis ⑤ 재선충병 – Bursaphelenchus
25. 삼나무 아랫가지의 잎이 회백색으로 변하고 검은 점들이 발견되었다 광학현미경기법을 사용하여 이 부분에서 아래 병원체를 관찰하였다. 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병원체의 무성세대 포자이다. ② 병원체의 유성세대 포자는 자낭포자이다. ③ 잎 표면에 뿔 모양의 분생포자덩이를 만든다. ④ 관찰한 포자의 중앙세포와 부속사의 특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⑤ 분류학적 위치는 Septoria속이며, 다양한 수종에 잎점무늬병을 일으킨다.
정답 : 5 해설 :
⑤ 분류학적 위치는 Septoria속이며, 다양한 수종에 잎점무늬병을 일으킨다. (Pestalotiopsis 속)
문제에서는 삼나무라는 제시어를 주어서 쉽게 삼나무 잎마름병이라는 것을 유추해 볼 수 있지만, 병원체 모양을 그림으로 그려서 암기했던 기억이 있는데요. 간단하게라도 그려보시면 도움이 많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