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산림 신규사업부터는 재해위험성 검토의견서 작성에 품셈을 적용을 받게 되었네요. 투입인원수 산정기준과 환산계수 및 보정계수 확인하시라고 첨부로 올려드립니다. 산림분야는 지속적인 법 개정과 정책 개선이 정말 잘 이루어진다는 생각이 듭니다. 보다 전문적이고 효율적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개선 의지가 확실해야 발전이 있다고 보는 일인입니다.
SINMAP 2.0 산림 공간분석에서 안정사면, 또는 안정지수 매핑이라는 분석을 하는 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오픈소스 라이브러리(dll)입니다. 단독으로 실행되지 않고, ArcView 또는 ArcGis와 연동되는 플러그인으로 개발되어진 것이 너무 아쉬운데요. 파이썬이나 QGIS에서 사용할 수만 있었다면 엄청났을 것 같은 라이브러리입니다. 유타주립대학교의 데이비드 타보튼이라는 분이 만들었고, 안정지수를 계산하고 매핑하는 ArcGIS 9.X ArcMap 추가 기능으로 보시면 되겠네요. SINMAP 2.0지형 기반의 수문학 모델을 생성하고 추출한 습도(공극 압력)를 이용하여 무한 평면 사면 안정 모델에 이론적인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디지털표고모델(DEM) 방법은 입력정보(경사라던지, 특정 유역면..
Coordinate Capture로 찍은 특정좌표를 도분초로 표현하고 싶을때 ChatGPT이용하면 쉽게 변경이 가능합니다^^ 주어진 좌표인 127.67800, 36.72767를 도분초 형식으로 표현하려면 다음과 같이 변환할 수 있습니다: 경도(Longitude) 127.67800을 도분초로 변환: 도(Degree): 정수 부분인 127 분(Minute): 소수점 이하의 숫자를 60으로 곱한 후 정수 부분을 취합니다. 0.67800 * 60 = 40.680 → 40 (분) 초(Second): 분의 소수 부분을 60으로 곱합니다. 0.680 * 60 = 40.800 → 40.800 (초) 따라서, 경도(Longitude) 127.67800은 도분초 형식으로 127도 40분 40.800초로 표현됩니다. 위도(..
산지전용지 재해성여부 판단시 산림법인도 위험부담을 안고 갈 수는 없으니 속성으로 해당지역의 평균경사도와 분포를 속성으로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보통 안정권의 평균경사도는 15도 정도이며 25도이상의 경사도 격자가 40프로 이상이면 일단 부적합으로 간이 판정을 내려볼 수 있습니다 방법은 아래의 두가지를 사용가능 첫번째는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활용 아래 경로 참고 https://codekiller.tistory.com/664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평균경사도 확인하기 산지관리법상에 평균경사도조사서를 작성할 수 있는 자격기준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산림기사, 토목기사,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 이라고 명시되어 있고 이에 codekiller.tistory.com https://cod..
평균경사도 확인하는 방법 국토환경성 평가지도로 확인한 경사도 분석과 QGIS로 분석한 경사도 분석의 차이 ">▶국토환경성평가지도의 경사분석결과 : A▶QGIS 공간분석상의 경사도분석결과 : B A와 B의 결과로만 봤을때는 비슷하긴 하지만 A의 경사도 분포가 다소 낮게 분석이 되어 나오고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A를 믿어야 하는 것인가요? 공간분석 측정 B를 믿어야하는 것인가요? 혹은 캐드(지형도)상의 경사도분석을 믿어야할까요? 보통 공간분석을 할때는 수치표고모델_XX을 이용하거나 지형도(F0010000)를 이용하여 공간분석 TIN보간을 하여 사용을 하게됩니다. 그런데 지적상의 '임' 을 공간분석을 하려면 산지라서 픽셀(해상도)10X10을 사용을 해야하고, 이에따라 TIN 보간 및 재투영시에 10X..
산지관리법상에 평균경사도조사서를 작성할 수 있는 자격기준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산림기사, 토목기사, 측량 및 지형공간정보기사 이상의 자격을 취득한 사람.이라고 명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평균경사도를 산출하고 조사서 작성을 할 수 있습니다. 국토환경성평가지도환경부는 환경친화적인 국토이용 및 국토환경계획 통합관리를 위해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시스템을 고도화 추진하였고, 그에 대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국토환경성평가지도 정밀도 개선- 국토환경성평가지도 모바일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 제공- 국토환경성평가지도 활용메뉴얼 마련- 지자체 공간기반 환경계획 수립 지원강화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산림에서 국토환경성평가지도 WebGIS를 이용하여 이용할 수 있는 범위는 우선 WebG..
https://map.forest.go.kr/forest/ 산림공간정보서비스 모암 속성 정보안내 대분류 소분류 화성암 화강암류,섬록암,반암,현무암,안산암,유문암 등 퇴적암 역암,사암,혈암,응회암,점판암,석회암,Shale 등 변성암 화강편마암,편암,천매암,기타 변성암류 map.forest.go.kr 산림공간정보서비스에서 상단메뉴 "산림지도" - 산불위험지도를 선택합니다.
산림청 공간정보서비스 https://map.forest.go.kr/forest/#/ 산림공간정보서비스 모암 속성 정보안내 대분류 소분류 화성암 화강암류,섬록암,반암,현무암,안산암,유문암 등 퇴적암 역암,사암,혈암,응회암,점판암,석회암,Shale 등 변성암 화강편마암,편암,천매암,기타 변성암류 map.forest.go.kr 상단메뉴에서 "산림지도"를 선택 후, 과거 산불발생 위치도를 선택합니다.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