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KILLER

반응형

[해설] 제11회 수목해충학 문제풀이 26~30번
[해설] 제11회 수목해충학 문제풀이 26~30번

[해설] 제11회 수목해충학 문제풀이 26~30번


26. 곤충 목(order)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참나무 시들음병 매개충은 노린재목에 속한다.
② 벼룩목은 원래 날개가 없는 무시아강에속한다.
③ 기생성 천적에는 사마귀목에 속하는 종이 있다.
④ 나비목 유충의 입 구조는 찔러빠는 형태이다.
⑤ 총채벌레목 곤충은 줄쓸어빠는 비대칭형입틀을 가진다.


정답 : 5
해설 :

① 참나무 시들음병 매개충은 노린재목에 속한다. (딱정벌레목-바구미과-긴나무좀아과)
② 벼룩목은 원래 날개가 없는 무시아강에 속한다. (유시아강-신시군-내시류)
③ 기생성 천적에는 사마귀목에 속하는 종이 있다. (기생벌류[맵시상과, 먹좀벌상과, 좀벌상과 등)와 기생파리류(쉬파리과, 기생파리과 등)]
④ 나비목 유충의 입 구조는 찔러빠는 형태이다. (씹는 형)
⑤ 총채벌레목 곤충은 줄쓸어빠는 비대칭형입틀을 가진다.

27. 곤충의 형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대벌레 머리는 후구식이다.
② 미국흰불나방의 번데기는 위용이다.
③ 소나무좀 유충은 배다리를 가지고 있다.
④ 매미나방 수컷성충의 더듬이는 실 모양이다.
⑤ 아까시잎혹파리의 뒷날개는 곤봉 형태로 변형되어 있다.

 

정답 : 5
해설 :

① 대벌레 머리는 후구식이다. (전구식)
② 미국흰불나방의 번데기는 위용이다. (피용), 위용에 속하는 것은 파리류.
③ 소나무좀 유충은 배다리를 가지고 있다. (딱정벌레목은 배다리 없음) (나비목 유충이 배다리를 가지고 있음)
④ 매미나방 수컷성충의 더듬이는 실 모양이다. (나방류는 깃털모양) (실모양 - 딱정벌레, 하늘소, 귀뚜라미, 바퀴)
⑤ 아까시잎혹파리의 뒷날개는 곤봉 형태로 변형되어 있다.
더듬이 모양 곤충 암기법
깃털모양(모상) 기(수컷),  우모나 -> "어머나"
회초리, 찍(강모상) 잠자리 "잠자리 채"
봉모양(방망이) 비목, 당벌레 "곤봉나무"
살모양(즐치상) 류, 뱀잠자리 "빗살무늬에 벌, 뱀잠자리 그림"
모양(사상) 정벌레, 늘소, 귀뚜라미, 바퀴 "실히 딱하도다"
톱니모양(치상) 아벌레류 "거반" (거의 반절의 의미)
모양(구슬) 개미 주흰 -> "주인"
무릎모양(굽, 슬상) 구미,  팔바개 -> "팔베개"
가미모양 뎅이 아! 풍덩

(암기법 : 우채국(곤)빗 실거주 팔아!!)


28. 곤충의 외표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표피층의 가장 바깥쪽 부분이다.
② 가장 바깥층을 시멘트층이라 한다.
③ 색소침착이 일어나 진한 색을 띤다.
④ 방향성을 가진 왁스층이 표피소층 바로 위에 있다.
⑤ 수분 손실을 줄이고 이물질의 침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정답 : 3
해설 :

색소침착이 일어나 진한 색을 띤다. (원표피에 대한 설명으로 경화과정이 일어나 멜라닌 색소 침착이 동반되어 외원표피에 주로 어두운 갈색이 나타남)

29. 곤충의 날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꿀벌은 날개가시형의 연결방식을 취한다.
② 외시류 곤충은 날개를 배 위로 접어 놓을 수 없다.
③ 노린재목의 날개는 가죽질 형태로 변형되어 있다.
④ 딱정벌레목의 앞날개는 딱딱하게 변형되어 뒷날개를 보호한다.
⑤ 완전변태를 하는 모든 곤충은 비행할 수 있는 날개를 가지고 있다.

 

정답 : 4
해설 :

① 꿀벌은 날개가시형의 연결방식을 취한다. (꿀벌은 날개갈고리형 연결방식)
② 외시류 곤충은 날개를 배 위로 접어 놓을 수 없다. (신시류는 날개접힘, 신시류에는 내시류와 외시류가 있음)
③ 노린재목의 날개는 가죽질 형태로 변형되어 있다. ('노린재목-노린재아목'은 앞날개 기부 절반이 가죽질, 끝 절반이 막질로 되어 있음)
④ 딱정벌레목의 앞날개는 딱딱하게 변형되어 뒷날개를 보호한다.
⑤ 완전변태를 하는 모든 곤충은 비행할 수 있는 날개를 가지고 있다. (일부 유시곤충[이, 벼룩]은 날개가 특별한 이점을 제공하지 않기에 날개가 없음)
연결방식 내용
날개가시형 뒷날개 기부 앞쪽에서 앞날개 쪽으로 날개가시가 뻗어 나와 앞날개의 전연맥 아래쪽 기부에 있는 간진틀로 연결되는 방식 (나비목)
날개걸이형 앞날개의 날개걸이맥 쪽에서 뒤로 뻗어 나온 날개걸이가 뒷날개의 기부와 겹치면서 연결되는 방식 (나비목)
날개갈고리형 날개를 펼쳤을 때 뒷날개의 앞쪽에 날개걸쇠가 있어 앞날개의 뒤쪽과 연결되어 잡아주는 방식(벌목)

30. 곤충 소화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위식막은 중장의 상피세포를 보호한다.
② 여과실은 식엽성 곤충에서 발달된 구조이다.
③ 소화기관은 전장, 중장, 후장으로 구성된다.
④ 중장은 소화된 영양분을 상피세포를 통하여 혈림프로 흡수한다.
⑤ 모이주머니는 일시적인 먹이 저장소로 종에 따라 모양이 다양하다.

 

정답 : 2
해설 :

② 여과실은 식엽성 곤충에서 발달된 구조이다. (흡즙성 곤충)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