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KILLER

반응형

[해설] 제11회 수목해충학 문제풀이 31~35번
[해설] 제11회 수목해충학 문제풀이 31~35번

[해설] 제11회 수목해충학 문제풀이 31~35번

31. 곤충의 배설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육상곤충은 암모니아보다 요산 배설이 유리하다.
② 말피기관은 함질소 노폐물을 거르는 역할을 한다.
③ 말피기관은 물이나 무기이온 등 몸에 필요한 성분을 능동적으로 재흡수한다.
④ 말피기관에서 형성된 1차 배설물은 소화관으로 이동하면서 최종 배설물로 전환된다.
⑤ 은신계는 전장벽에 붙어있어 삼투압차를 이용하여 전장에서 바로 노폐물과 함께 수분을 흡수한다.

 

정답 : 5
해설 :

⑤ 은신계는 전장벽에 붙어있어 삼투압차를 이용하여 전장에서 바로 노폐물과 함께 수분을 흡수한다.
*후장의 흡수작용은 직장의 유두돌기나 복잡한 은신계에서 한다.
*은신계는 딱정벌레에서 볼 수 있으며, 말피기관의 끝이 직장에 밀접되어 있고 막으로 싸여 있다. 
*은신계는 수분을 삼투압차를 이용하여 바로 말피기관으로 흡수. 

32. 곤충의 신경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은 GABA 이다.
② 중대뇌는 광감각을 수용하는 신경절이다.
③ 휴지전위 시 신경세포와 세포돌기의 내부는 양전하를 띤다.
④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은 연접후세포막의 염소이온통로를 개방한다.
⑤ 중추신경계는 뇌, 뇌아래신경절, 가슴 및 내장신경절로 구성된다.

 

정답 : 1
해설 :

①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은 GABA 이다. (O)
② 중대뇌는 광감각을 수용하는 신경절이다.
* 전대뇌 : 곁눈, 홑눈 (복안과 단안) → 광감각수용

* 중대뇌 : 촉각 감각과 근육과 연결 (더듬이)
* 후대뇌 : 전방신경절을 통해 내장신경계 연결(윗입술, 전위, 식도하신경절)
③ 휴지전위 시 신경세포와 세포돌기의 내부는 양전하를 띤다.(내부는 음전하, 외부는 양전하)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은 연접후세포막의 염소이온통로를 개방한다. (억제성)
⑤ 중추신경계는 뇌, 뇌아래신경절, 가슴 및 내장신경절로 구성된다.
- 신경의 기본구조는 신경세포->신경절->신경계
- 신경계 : 중추, 내장, 말초신경계
- 중추신경계 : 뇌.식도하신경절, 복부신경색(절), 가슴신경절.
- 내장신경계 : 전장신경계, 중앙신경계, 후장신경계 (소화관 관리,지배)
- 말초신경계 : 각 신경절에서 몸의 각 조직까지 연결

33. 곤충의 감각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다리의 진동과 청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존스톤기관이다.
② 완전변태류의 유충에 있는 유일한 광감각기관은 윗홑눈이다.
③ 압력, 중력, 진동 등의 물리적 자극을 감지하는 것은 감간체이다.
④ 근육과 연결조직 등에 분포하여 다극성 신경세포를 가지고 있는 것은 신장감각기이다.
⑤ 구기, 다리, 산란관 등에 분포하여 용액 상태의 물질에 반응하는 것은 냄새감각기이다.


정답 : 4
해설 :

① 다리의 진동과 청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존스톤기관이다. (고막기관)
<현음기관>
1) 무릅아래기관 : 많은 곤충의 다리에 위치.
2) 고막기관 : 소리 진동에 반응하는 드럼과 같은 고막 아래에 놓여 있다. [노린재목은 가슴, 메뚜기류/매미류/일부 나방류는 복부, 귀뚜라미류/여치류는 앞다리 종아리마디]
3) 존스턴기관 : 각 더듬이의 흔들마디 안에 있다.
② 완전변태류의 유충에 있는 유일한 광감각기관은 윗홑눈이다. (옆홑눈)
③ 압력, 중력, 진동 등의 물리적 자극을 감지하는 것은 감간체이다. (기계감각기)
④ 근육과 연결조직 등에 분포하여 다극성 신경세포를 가지고 있는 것은 신장감각기이다. (O = 신장수용기)
⑤ 구기, 다리, 산란관 등에 분포하여 용액 상태의 물질에 반응하는 것은 냄새감각기이다. (화학감각기 중, 미각수용체)

34. 곤충의 호르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유약호르몬은 알라타체에서 분비된다.
② 앞가슴샘자극호르몬은 카디아카체에서 합성된다.
③ 번데기로 용화할 때는 유약호르몬의 농도가 낮아진다.
④ 탈피호르몬은 앞가슴샘에서 합성되어 혈림프로 분비된다.
⑤ 허물벗기호르몬(eclosion hormone)은 뇌의 신경분비세포에서 합성된다.

 

정답 : 2
해설 :

앞가슴샘자극호르몬은 카디아카체에서 합성된다. (카디아카체는 뇌의 신경분비세포에서 신호를 받은 후, 앞가슴샘자극호르몬을 방출)

35. 수목해충의 산란행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개나리잎벌은 잎의 조직 속에 1~2 줄로 산란한다.
② 복숭아유리나방은 수피 틈에 1개씩 산란한다.
③ 박쥐나방은 날아다니면서 알을 지면에 떨어뜨린다.
④ 솔껍질깍지벌레는 가지에 알주머니 형태로 낳는다.
⑤ 극동등에잎벌은 잎 가장자리 조직 속에 덩어리로 산란한다.

 

정답 : 5
해설 :

⑤ 극동등에잎벌은 잎 가장자리 조직 속에 덩어리로 산란한다. 

* (향문사)수목해충학 : 톱 같은 산란관을 잎 가장자리 조직 속에 집어넣어 일렬로 알을 낳음.
* 산림청 : 암컷 성충은 톱과 같은 산란관을 잎 가장자리 조직 속에 삽입하여 산란된 곳은 팽대해지고 갈색으로 변함
향문사&gt; 수목해충학 출처
향문사> 수목해충학 출처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