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 모양의 선충문에 속하는 무척추 하등동물
- 강이나 바다 또는 토양에서 자유생활하지만, 사람이나 동물에 기생하기도 함.
- 식물성 기생선충의 대부분은 토양을 경유하는 토양선충이다.
- 편의상 식물기생선충을 제외한 토양선충을 부생선충이라고 한다.
- 투명한 막으로 된 큐티클로 덮여 있다.
- 각피에는 가로무늬의 환문과 세로무늬의 종문이 있다.
- 각피 바로 밑에는 얇은 층의 진피가 있다.
- 진피 안쪽에는 근육세포와 의체강인 복강이 있다.
- 선충의 앞부분을 '두부', 항문 뒷부분을 '꼬리' 또는 '미부'라고 한다.
- 두부에는 구강과 구침이 있고, 이어서 식도-창자-항문으로 이어진다.
- 구침의 형태 : 식도형 구침과 구강형 구침으로 나뉜다.
- 식물선충의 식도 : 전부식도구/중부식도구/후부식도구 세 부분으로 나뉜다.
- 선충의 생식기 : 수컷은 항문 부위에 교접자를 갖고 있고, 교접낭으로 싸여 있는 경우가 많아 꼬리가 독특한 모양을 한다. 반면에 암컷은 종에 따라 몸의 중앙부 또는 후부에 음문이 있다.
- 암컷의 생식기관 : 난소/나팔관/수정낭/자궁/질/음문
- 수컷의 생식기관 : 고환
- '알-유충-성충'으로 나눌 수 있다. (한 세대의 길이는 2주~2달 정도가 소요)
- 유충의 성장은 탈피를 통해 이루어진다. (세포수의 증가가 아닌 크기가 증가하여 몸이 커짐)
- 1령 유충에서 성충까지 4회 탈피를 한다.
- 생식방법 : 유성생식인 양성생식, 단위생식이나 처녀생식 등의 무성생식이 있다.
- 식물선충은 절대활물기생체로 대부분 뿌리에 기생하며, 식물의 지상부를 가해하는 선충의 종류는 몇 가지에 불과하다.
- 식물선충은 기생방법에 따라 외부기생선충과 내부기생선충, 반내부기생선충으로 나뉜다.
- 암컷 성충의 운동성에 따라 이주성 및 고착성으로 구분.
- 식도형 구침의 선충 : 모두 이동성 외부기생선충
- 식물선충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구강형 구침의 선충은 종류에 따라 기생형태를 달리한다.
- 기주식물체로부터 영양분을 탈취하여 식물에 피해를 준다.
- 선충의 침입과 흡즙하기 전 탐사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계적 손상으로 식물에 해를 준다.
- 내부기생성 선충 : 침입 후 조직 내에서 이동하거나 성장에 의해 주변의 세포를 파괴하고 조직을 괴사시킴.
- 선충이 분비하는 침과 분비물에 의해 식물의 생리적 변화를 유발함.
- 고착성 선충의 경우에는 뿌리조직 내에 양육세포, 합포체, 거대세포가 형성되어 통도기능 등 생리장애 유발함.
- Baermann funnel법으로 토양이나 식물체 조직을 잘라 화장지 위에 놓고 물을 채운 깔때기에 담가 놓아 토양이나 식물조직에서 선충이 빠져나와 깔때기의 밑으로 가라앉게 하며, 깔때기 밑에 모인 선충은 페트리접시에 받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다.
- 식물선충은 선충문(Nematoda)의 Dorylaimida목과 Tylenchida목에 포함되어 있다.
▶Dorylaimida목
- 식도가 두 부분으로 되어 있는 Dorylaimoid형의 식도와 식도형 구침을 갖는 몸이 큰 선충.
- [주요 속] Xiphinema, Longidorus, Trichodorus, Paratrichodorus 등
* Xiphinema와 Longidorus : 벚나무, 포도나무, 나무딸기, 복숭아나무, 자두나무 등에 Nepovirus를 매개함.
* Trichodorus와 Paratrichodorus : 관상식물에 Tobravirus를 매개함.
▶ Tylenchida목
- 두 아목, Aphelenchina와 Tylenchina로 나뉜다.
* Aphelenchina아목 : 중부 식도구가 체폭의 2/3 이상의 선충.[주요 속 : Aphelenchoides, Bursaphelenchus 등과 식균선충인 Aphelenchus]
* Tylenchina아목 : 가장 많은 종의 식물선충이 포함되어 있다. 두가지의 상과 Criconematoidea와 Tylenchoidea로 구성됨. [Criconematoidea : 전부식도구와 중부식도구가 합쳐짐. 후부식도구가 매우 작아져 두 개의 식도구로 이루어짐 / Tylenchoidea : 내부, 외부 기생성, 이주성, 고착성 등 가장 다양한 기생성을 가지며, 전부/중부/후부 식도구로 잘 나뉘어 있다.
참고서적 : 신고 수목병리학 (향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