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의 잠복소에는 해충뿐만 아니라 익충도 함께 월동을 하는데, 해충보다는 익충이 더 많이 검출되어 잠복소 설치는 더 이상 권장하지 않는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미국흰불나방의 피해가 가로수와 공원수에 극심하여 전국에서 문제가 되었는데, 흰불나방을 구제하기 위하여 나무줄기의 아랫부분에 해충의 잠복소(insect trap)를 설치해 왔다.
유충이 잠복소에서 고치 형태로 월동하게 유도하고, 이듬해 봄 일찍 잠복소를 불태워 해충을 구제해 왔다. 잠복소는 주로 볏짚이나 녹화마대를 이용하여 만들었다. 이러한 관행은 수십 년 동안 반복이 되었고, 지금도 자연보호의 상징으로 인식되어 일부 지역에서 설치하고 있다.
1970년대에 곤충학자들이 잠복소의 효능에 대하여 연구했는데, 잠복소 안에는 해충뿐만 아니라 익충도 함께 들어 있었다. 그런데 익충의 수가 더 많아서 잠복소를 설치하는 것이 더 손해라는 결론을 내렸다.
구 후 잠복소를 설치하는 행정지침이 취소되었지만, 아직도 홍보가 제대로 되지 않아 자연보호 차원에서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산림청에서는 잠복소 유살법을 권장하지 않는다라는 의견을 내놓았고 무의미하다고 하니 이제 이런 관행은 없어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서적 : [문답으로 배우는 조경수 관리지식(이경준 저)]
수목의 내병충성을 높이는 관리방법은 무엇인가?
정답 수목의 내병충성은 광합성을 통해 탄수화물을 축적하여 내병충성 물질을 합성함으로써 높아진다. 광합성을 높이고 통풍을 도모하며 공중 습도를 낮추는 환경을 유지함으로써 곰팡이의 생
codekiller.tistory.com
전염성 병과 비전염성 병을 구별하는 기준은?
정답 전염성 병은 일정한 종류의 수종에서만 선별적으로 나타나며 개체 간에 발병의 차이가 있다. 비전염성 병은 수종에 관계없이 한 지역에서 자라는 모든 나무가 비슷한 병징으로 같은 속도
codekiller.tistory.com
병해충을 가장 효과적으로 구제할 수 있는 시기는 언제인가?
병해충을 가장 효과적으로 구제할 수 있는 시기는 언제인가?
정답 병균과 해충의 생활사를 바탕으로 하여 가장 취약한 시기 또는 가장 효율적이거나 친환경적인 시기를 찾아서 집중적으로 구제한다. 설명 병해충의 구제는 대게 농약을 사용하며 최대의 효
codekill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