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양유실 예측공식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 USLE)
A = R x K x L x S x C x P
- A : 연간예상 토양침식량 - R : 강우인자 - K : 토양침식성인자 - L : 경사장 인자 - S : 경사도 인자 - C : 피복인자 - P : 토양보전인자 |
1) high K
- 미사 or 매우고운모래는 높다. - expansive clay(팽창점토) 높다. - tenency to form surface crust (표면지각을 형성하는 경향이 높다.) - 불침투성 토양층의 존재, 덩어리, 판상, 거대한 토양구조 |
2) low K
- OM 함량이 높다. - 팽창하지 않는 유형의 점토 - 강한 입상구조 |
: 경사도와 경사장인자 (경사면의 길이가 경사도의 영향을 나타낸다)
: cover and management factor "작부관리인자"
: 경사도가 크고 경사장이 긴 지역에서는 유거의 속도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인공구조물 설치 (보전활동)
: E = I x K x C x L V
- E : 예상풍식량 - I : 토양 수식성인자(토양특성, 경사도) - K : 토양표면 거친정도 - C = 기후인자 (풍속, 토양온도, 강우량) - L = 경지 폭 인자 - V = 피복식물인자 (피복도, 피복물질의 성질) |
* 풍식방지
- 토양 수분 및 식생 : 토양수분 증가하면, 식생(피복도) 증가하고 피복도는 낮아짐 (풍식이 문제가 되는 곳은 대부분 토양수분하락, 피복도 하락) - 경운 (방식, 시기) => 무경운 재배 : 토양표면을 거칠게 유지하며 토양표면을 식물로 피복 : 주풍방향과 수직방향으로 경운 - 방풍 : 대부분의 방풍림 높이의 10배 정도까지 방풍효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