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 토양수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토양수는 토양수분퍼텐셜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한다.
② 판상구조 토양의 수리전도도는 입상구조 토양의 것보다 크다.
③ 사질토양은 모세관의 공극량이 적어 위조점의 수분함량도 낮다.
④ 식질토양의 배수가 불량한 이유는 미세공극이 많이 발달해 있기 때문이다.
⑤ 텐시오미터법은 유효수분 함량을 평가할 수 있으며 관수시기와 관수량을 결정하는 데 활용된다.
정답 : 2
해설 :
② 판상구조 토양의 수리전도도는 입상구조 토양의 것보다크다. (판상구조의 토양은 물 빠짐 정도가 좋지 않으므로 '낮다'로 표현해야함)
<포화수리전도도 (= 물 빠짐의 정도를 말함)>
- 토양의 투수성과 배수성의 척도
- 토성과 용적밀도 등의 토양특성에 따라 달라짐
- 점토함량이 많으면 낮고, 모래함량이 많으면 높음
97. 음이온의 형태로 식물체에 흡수되는 원소만을 나열한 것은?
① Fe, S
② K, Mn
③ Ca, Zn
④ Mg, Cu
⑤ Mo, Cl
정답 : 5
해설 :
① Fe, S [흡수형태 : (Fe²⁺, Fe³⁺, chelate) (SO₄²⁻, SO₂)]
② K, Mn [흡수형태 : (K⁺) (Mg²⁺)]
③ Ca, Zn [흡수형태 : (Ca²⁺) (Zn²⁺, chelate) ]
④ Mg, Cu [흡수형태 : (Mg²⁺) (Cu²⁺, chelate) ]
⑤ Mo, Cl [흡수형태 : (MoO₄²⁻, chelate) (Cl⁻) ]
구분 | 분류 | 원소 | 주요흡수형태 | 주요기능 | |
비무기성 | 다량영양소 | 비무기성 | C | HCO₃⁻, CO₃²⁻, CO₂ | 무기형태 흡수 후, 유기물질생성 |
H | H₂O | ||||
O | O₂, H₂O | ||||
무기성 | 1차 영양소 |
N | NO₃⁻, NH₄⁺ | 아미노산, 단백질, 효소, 핵산 등의 구성요소 | |
P | H₂PO₄⁻, HPO₄²⁻ | 에너지저장/공급(ATP 반응의 핵심) | |||
K | K⁺ | 효소의 형태유지, 기공의 개폐조절 | |||
2차 영양소 |
Ca | Ca²⁺ | 세포벽 중엽층 구성요소 | ||
Mg | Mg²⁺ | chlorophyll 분자구성 | |||
S | SO₄²⁻, SO₂ | 황함유 아모노산 구성요소 | |||
미량영양소 | Fe | Fe²⁺, Fe³⁺, chelate | cytochrome의 구성요소, 광합성작요의 전자전달 | ||
Cu | Cu²⁺, chelate | 산화효소의 구성요소 | |||
Zn | Zn²⁺, chelate | 알콜탈수소효소 구성요소 | |||
Mn | Mn²⁺ | 탈수소효소, 카르보닐효소의 구성요소 | |||
Mo | MoO₄² ⁻, chelate | 질소환원효소의 구성요소 | |||
B | H₃BO₃ | 탄수화물 대사에 관여 | |||
Cl | Cl⁻ | 광합성 반응 산소방출 |
98. 토양의 이온교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양이온교환용량에 대한 H+의 총량을 염기포화도라 한다.
② Fe과 Al이 많은 산성토양에는 음이온 흡착용량이 매우 낮다.
③ 양이온교환용량은 점토보다 모래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④ 양이온의 흡착 강도는 양이온의 수화반지름이 작을수록 증가한다.
⑤ 토양 가 증가하면 의존성 pH pH 전하가 감소하기 때문에 양이온교환용량도 증가한다.
정답 : 4
해설 :
① 양이온교환용량에 대한H+의 총량을 염기포화도라 한다.
② Fe과 Al이 많은 산성토양에는
* 염기포화도는 교환성 양이온의 총량 또는 양이온교환용량에 대한 교환성 염기의 양을 의미함.
: 염기포화도(%) = (교환성 염기의 총량 / 양이온교환용량) X 100
: 교환성 염기 = 토양을 산성화 시키는 수소와 알루미늄 이온을 제외한 양이온 (Ca, Mg, K, Na)음이온 흡착용량이 매우 낮다.
③ 양이온교환용량은
H⁺의 농도가 높아진다는 것은 산성화가 된다는 것이고, 흡착이 증가하게 되고 Fe와 Al 등 수산화물이나 점토광물이 많은 산성토양에서 매우 높은 음이온흡착용량을 나타냄 점토보다 모래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④ 양이온의 흡착 강도는 양이온의 수화반지름이 작을수록 증가한다.
토성 CEC 사토 1~5 미세 사양토 5~10 양토 및 미사질 양토 5~15 식양토 15~30 식토 30 이상
⑤ 토양 pH가 증가하면 의존성pH 전하가 감소하기 때문에 양이온교환용량도 증가한다.
토양 pH가 증가하면 pH의존성 전하가 증가함으로써 CEC도 증가함.
* pH가 낮아지면(산성) '-Si-OH기, -Al-OH기 및 -COOH기'의 해리가 잘 일어나지 않아 양이온교환용량이 낮다.
* pH가 높아지면(알칼리성) ' -Si-OH기, -Al-OH기 및 -COOH기'의 용해가 증가하므로 양이온교환용량이 커진다.
99. 토성을 판별하기 위해 모래, 미사, 점토의 비율을 분석하는 방법만을 나열한 것은?
① 피펫법, 비중계법
② 피펫법, 건토 중량법
③ 촉감법, 건토 중량법
④ 촉감법, 코어 측정법
⑤ 비중계법, EDTA 적정법
정답 : 1
해설 :
이 문제는 문제 자체가 오류가 있습니다. 침강법을 이용하는 방법은 'Stokes의 법칙'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Stokes의 법칙은 모래를 제외한 미사와 점토를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문제에서 모래, 미사, 점토의 비율을 분석하는 방법이라는 표현은 잘못되었네요.
① 피펫법, 비중계법
1. 촉감법 : 촉감에 의한 간이토성분석법은 현장에서 이용하는 방법 (숙달된 조사자가 사용하는 방법)
2. 입경분석법
1) 체를 이용하는 방법
2) 침강법을 이용하는 방법 (피펫법, 비중계법)
100. ‘A’ 도시공원에서 토양 코어(400 cm³)로 채취한 토양의 물리적 특성이 다음과 같을 때 이 토양의 공극률(%) 은?
건조 전 토양의 무게(g) | 건조 후 토양의 무게(g) | 고형 입자의 용적(cm³) |
600 | 440 | 220 |
① 40
② 45
③ 50
④ 55
⑤ 60
정답 : 2
해설 :
* 공극률 = (공극의 용적 / 전체 토양의 용적)
= (180 / 400) * 100 = 45%
1) 전체 토양의 용적 : 400cm³
2) 공극의 용적 = 400 - 220 = 180cm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