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KILLER

반응형

[해설] 제11회 산림토양학 문제풀이 86~90번

[해설] 제11회 산림토양학 문제풀이 86~90번

86. 토양의 수분퍼텐셜에 관한 다음 설명에서 ( )안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 비가 오거나 관수 후 대공극에 채워진 과잉 수분을 제거하는데 (㉠)퍼텐셜이 작용한다.
- 토양 표면에 흡착되는 부착력과 토양입자 사이의 모세관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힘 때문에 (㉡)퍼텐셜이 생성된다.
- 주로 수면 이하에서 상부의 물 무게에 의해 (㉢)퍼텐셜이 생성된다.
- 토양 용액 중에 존재하는 이온이나 용질의 농도 차이로 (㉣)퍼텐셜이 발생한다.

         ㉠       ㉡      ㉢       ㉣
① 매트릭   중력  삼투    압력
② 매트릭  중력   압력    삼투
③ 삼투    매트릭 중력    압력
④ 중력    매트릭 압력    삼투
⑤ 중력     삼투    압력    매트릭

 

정답 :  4
해설 :

- 비가 오거나 관수 후 대공극에 채워진 과잉 수분을 제거하는데 (중력)퍼텐셜이 작용한다.
- 토양 표면에 흡착되는 부착력과 토양입자 사이의 모세관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힘 때문에 (매트릭)퍼텐셜이 생성된다.
- 주로 수면 이하에서 상부의 물 무게에 의해 (압력)퍼텐셜이 생성된다.
- 토양 용액 중에 존재하는 이온이나 용질의 농도 차이로 (삼투)퍼텐셜이 발생한다.

87. 매립지의 알칼리성 토양을 개량하는데 적합한 토양개량제는? 
① 탄산칼슘(CaCO₃)
② 황산칼슘(CaSO₄)
③ 수산화칼슘[Ca(OH)₂]
④ 탄산마그네슘(MgCO₃)
⑤ 탄산칼슘마그네슘[CaMg(CO₃)₂]

 

정답 :  2
해설 :

② 황산칼슘(CaSO₄) →석고
  개량효과
① 탄산칼슘(CaCO₃) - 탄산석회 : 산성토양 개량 (pH를 중화하여 pH를 상승시킴)
② 황산칼슘(CaSO₄) 알칼리성 토양에는 토양개량제(석고 = 황상칼슘)가 사용되며 100m² 당 석고 120kg 이용됨.
③ 수산화칼슘[Ca(OH)₂] - 소석회 : 산성토양의 개량
④ 탄산마그네슘(MgCO₃) - 고토 : 산성토양의 개량
⑤ 탄산칼슘마그네슘[CaMg(CO₃)₂] - 알칼리성토양 개량

88. 수목 시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미량원소 결핍은 보통 한 성분에 의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② 양분 결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잎분석이다.
③ 질소가 결핍되면 어린 잎과 새순에서 먼저 부족현상이 나타난다.
④ 양분 공급량에 따라 생체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수점감의 법칙이라 한다.
⑤ 경사지에 위치하는 어린 수목에 시비할 때는 양쪽 수관 끝에 측방시비하는 것이 좋다.

 

정답 :  2
해설 :

① 미량원소 결핍은 보통 한 성분에 의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미량원소의 결핍은 단일원소의 결핍으로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고 여러 원소의 결핍이 동시에 발생할 수 있음, 과거에는 미량원소의 결핍을 파악하기 힘들었으나, 기술의 발달로 미량원소 결핍 구분가능.
② 양분 결핍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잎분석이다.
③ 질소가 결핍되면 어린 잎과 새순에서 먼저 부족현상이 나타난다.
- 잎 : 성숙엽이 황록색으로 균일하게 변함. 잎이 작고 얇아짐. 조기낙엽. 복엽은 소엽의 숫자가 감소
- 가지 : 가늘고 짧아짐
- 꽃 : 늦게 많이 핌
- 열매 : 작고 가벼움. 일찍 성숙함
양분 공급량에 따라 생체량이 증가하는 현상을 보수점감의 법칙이라 한다.
- 보수점감의 법칙 : 양분의 공급량에 대한 수량의 증가율이 점차 줄어드는 현상. (제한요인이 되는 최소 양분의 양을 점차 높여 주면 높여 준 양에 대하여 어느 한도까지는 수확이 정비례하여 증가하지만, 더 많아지면 증수되는 비율이 점차 낮아지고, 더욱 늘리면 최고의 한계에 이른 다음 수량이 감소하게 됨.)
⑤ 경사지에 위치하는 어린 수목에 시비할 때는 양쪽 수관 끝에 측방시비하는 것이 좋다.
- 측방시비는 가장 긴 가지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둘레에 시비하는 방법으로 잘못된 보기이고, 경사지에서 식재목의 경사지 상부에 골을 파서 시비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함(반원형시비)


89.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필수원소가 수목 내에서 일으키는 생리작용은?

- 결핍 시 침엽수의 잎끝이 괴사하거나 갈색으로 변하고 잎 중간에 황색 띠가 나타나는 증상을 보인다. 
- 활엽수에서는 담녹색 잎맥과 잎맥 주위가 담황색으로 변하는 결핍증상을 보인다.

① 과산화물 제거
② 단백질의 구성성분
③ 세포막의 기능 유지
④ ATP의 기능 활성화
⑤ 공변세포의 팽압 조절


정답 :  4
해설 :

① 과산화물 제거 (Mn의 기능)
② 단백질의 구성성분 (N의 기능)
③ 세포막의 기능 유지 (Ca의 기능)
④ ATP의 기능 활성화 (Mg의 기능)
⑤ 공변세포의 팽압 조절 (K의 기능)

[보기의 결핍증상은 Mg의 결핍증상, Mg의 기능은 아래 참고]
- 엽록소의 구성성분
- ATP와 결합하여 그 기능의 활성화
- 광합성, 호흡작용, 핵산 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제 역할
- 성숙잎에서 결핍증인 황화현상.

90. ()안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는?

- 부식집적작용 중 분해가 양호한 유기물은 ( ㉠ ) 이다
- 침엽수 등의 식생에 의하여 공급되는 유기물이 토양미생물의 활동 부족으로 일부분만 분해된 것은 ( ㉡ )이다.
- 그 중간단계의 특성을 보이는 유기물은 ( ㉢ )이다

        ㉠         ㉡         ㉢
① moder     mull      mor
② mor       moder    mull
③ mor        mull      moder
④ mull        mor      moder
⑤ mull       moder     mor


정답 :  4
해설 :

㉠ mull(입상부식) : 분해가 양호한 유기물.
㉡ mor(조부식) : 유기물이 미생물의 활동부족으로 일부만 분해된 것.
㉢ moder : mor와 mull의 중간적 특성을 지님(표층에는 분해되지 않은 유기물층이 퇴적되어 있고, 그 밑에는 A층과 혼합된 mull층과 비슷한 토양)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