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토 : 손바닥 안에서 뭉쳐지지 않고 부서짐 (점토함량이 적어서 점착성이 떨어짐, 2.5cm 이상 길어지지 않음)
- 식양토 : 손 안에서 뭉쳐지고 띠를 만들 때 약 5cm 까지 늘어남 (까칠까칠한 느림)
- 식토 : 손 안에서 뭉쳐지고 띠를 만들 때 약 5cm 이상 늘어남 (매끄러운 느낌)
[토양체 번호별 mesh의 크기와 모래입자의 분류]
체번호 | 입자의 크기(um) | 모래의 분류 (미국 농무성법) |
비고 |
10 | 2000 | 극조사, 매우 거친 모래 | 2.00~0.05mm |
18 | 1000 | ||
35 | 500 | 조사, 거친 모래 | |
60 | 250 | 중간모래 | |
70 | 212 | 고운모래 | |
140 | 106 | ||
270 | 53 | 매우 고운 모래 | |
325 | 45 |
1. 피펫법 | 입자의 크기별 침강속도의 차이를 이용하여 직접 토양현탁액을 채취하고 조사 (토양함량을 측정) |
2. 비중계법 | 토양입자가 침강함에 따라 현탁액 중의 토양함량이 낮아지고, 따라서 현탁액의 비중도 낮아진다. |
참고서적 : 토양학 (향문사)
[목차페이지] 나무의사 기출문제 해설
나무의사 시험은 많은 분량의 이론 공부가 상당히 중요하지만, 기출문제 경향 분석이 되지 않으면 이론공부에 부족함이 없더라도 시험의 당락은 확신할 수 없습니다. 또한 기출문제 경향분석이
codekiller.tistory.com
나무의사 1차 기출문제 해설집 다운로드(ver 1.0)
블로그 글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문서로 요청하시는 분들이 종종 있으셨는데요. 아마도 암기법을 표로 만들어 놓은 것들을 사용하기 위해서 요청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셨습
codekill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