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분 | 입자밀도( g/cm³) |
물 | 1.0 |
석영, 장석 | 2.65 |
철산화물 | > 3.0 |
탄산칼슘 | 2.71 |
유백색 규소 | 2.2 |
유기물 | 1.2 ~ 1.5 |
구분 | 용적밀도(g/cm³) | 토성 | 조사지점 | 비고 |
반천통 | 1.39 | 미사질 토양(SiCL) | 전라남도 담양군 | 밭토양 |
정동통 | 1.19 | 사양토(SL) | 경상북도 상주군 | 밭토양 |
남원통 | 0.63 | 미사질 토양(SiCL) | 제주도 남제주군 | 과수원 |
함창통 | 1.17 | 식양토(CL) | 경상북도 상주군 | 논토양 |
문) 농경지 1ha(3000평)의 면적, 10cm 깊이로 비료를 줄 때.
1) 1ha의 면적, 10cm 두께의 토양용적 : 10,000m² X 0.1m = 1000 m³
2) 용적밀도가 1.20g/cm³인 토양의 질량 : 1,000 m³ X 1.2g/cm³ X 10⁶cm⁶/m⁶ X 1kg/1000g
= 1,200,000kg = 1,200톤
참고서적 : 토양학 (향문사)
[목차페이지] 나무의사 기출문제 해설
나무의사 시험은 많은 분량의 이론 공부가 상당히 중요하지만, 기출문제 경향 분석이 되지 않으면 이론공부에 부족함이 없더라도 시험의 당락은 확신할 수 없습니다. 또한 기출문제 경향분석이
codekill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