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KILLER

반응형

국내 주요 충영형성 해충
국내 주요 충영형성 해충

혹파리류(gall midge)

1. 잎과 가는 가지에 혹을 만든다. 

2.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 성충의 몸길이가 2.5mm 이내의 작은 파리로서 모기장을 통과할 만큼 작다.

- 소나무와 곰솔과 같은 2엽송에서 잎의 기부에 혹을 만든다.

- 연 1회 발생, 유충으로 지피물 속에서 월동한 후 고치를 만든다.

- 5월 중순부터 7월 중순 사이에 우화한다. 우화 한 성충은 어린잎에 산란하며, 부화한 유충은 솔잎의 기부에 벌레 혹을 만들고 수액을 빨아먹어 잎이 더는 자라지 못하다가 다음 해에 갈색으로 변하여 조기낙엽 진다.

- 유충은 3령기에 늦가을에 비가 올 때 낙엽층으로 떨어져 월동한다.

- 5년 정도 연속적으로 충영형성률이 60%를 넘으면 피해목의 30~60%는 죽는다.

- 1960년대부터 전국의 소나무가 큰 피해를 받음

- 방제 : 6월에 이미다클로프리드 액제, 티아메톡삼 분산성액제 등 적용 약제를 수간주사, 4월 하순~5월 하순에 이미다클로프리드 입제, 카보퓨란 입제 등을 흉고직경 1cm당 20g 뿌리 근처 토양 속에 훈증한다.

3. 사철나무혹파리(Masakimyia pustulae)

- 잎 뒷면에 직경 4~10mm 크기의 부풀어 오른 듯 혹을 만들며, 심하면 잎이 조기낙엽 진다.

4. 아까시잎혹파리(Obolodiplosis robiniae)

- 한 세대가 한 달 정도로 짧아서 5월부터 10월까지 연 5회 발생하여 피해가 커진다.

- 유충이 어린잎을 뒤쪽으로 말면서 흰가루병이 함께 나타나 새순이 지속적으로 말라죽어 나무가 쇠약해진다.

- 방제 : 피해 초기에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10%) 2000배액을 잎에 살포하고, 풀잠자리, 깡충좀벌, 무당벌레, 침노린재 등 천적을 보호한다.

혹진딧물류(gall aphid)

1. 잎과 가지에 벌레혹(충영)을 만드는 종류를 말한다.

2. 혹을 만들지만 나무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지는 않는다.

3. 때죽납작진딧물(Ceratovacuna nekoashi)

- 어린 가지 끝에 황록색의 방추형 혹을 만들어 열매처럼 보인다.

- 7월 하순 날개 있는 암컷이 나도바랭이새로 이주하고 가을에 다시 때죽나무로 돌아온다.

4. 조록나무혹진딧물

- 조록나무 잎에 혹을 만들며, 연 4세대를 반복한다.

- 중간기주가 없다.

5. 사사키잎혹진딧물(Tuberocephalus sasakii)

- 잎에 주머니 모양의 혹을 만들며, 벚나무류에 기생한다.

- 6월에 날개 있는 암컷이 중간기주인 쑥으로 이동한다.

- 방제 : 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 2000배액,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를 10일 간격으로 2~3회 뿌린다.

면충류(wooly aphid)

1. 진딧물과 흡사하게 생겼으며, 몸에 밀랍이나 흰가루가 있다.

2. 잎에서 즙액을 빠는 종보다 벌레혹을 만드는 종이 더 많다.

3. 느티나무외줄면충(느티나무외줄진딧물)

- 암컷 성충이 백색 밀랍으로 덮여 있다. 

- 잎에 표주박 모양의 혹을 만든다.

- 6월경 날개 있는 암컷이 대나무로 이주한 후 10월경 다시 기주로 돌아온다. 

4. 황철나무혹면충

- 새 가지에 호두 크기의 딱딱한 혹을 만든다.

- 7월 하순 중간기주로 이동한 후, 10월 다시 기주로 돌아온다.

5. 검은베네줄면충

- 느릅나무 잎에 긴 타원형의 적갈색 혹을 만든다.

- 5월 중순에 날개 있는 암컷이 벼과식물의 뿌리로 이동한 후 10월 느릅나무로 돌아온다.

6. 방제 : 4월부터 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 2000배액, 디노테퓨란 수화제 10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3회 이상 뿌린다.

혹응애류(eriophyoid mite)

1. 기주선택성이 강해서 한 가지 속 혹은 한 종의 수목에만 기생한다.

2. 잎, 가지 끝, 혹은 마디 사이에 다양한 모양의 혹을 만든다.

3. 붉나무혹응애(Aculops chinonei), 버드나무혹응애, 밤나무혹응애, 구기자혹응애는 좁쌀 크기의 작은 혹을 많이 만들지만, 회양목혹응애(Eriophyes buxis)와 향나무혹응애는 꽃봉오리 모양의 큰 혹을 만든다.

4. 소나무혹응애는 혹을 대신해서 한 장소에 부정아가 덩어리로 모여 생기면서 잎의 거의 자라지 못한다.

5. 방제 : 봄에 적용 약제를 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

혹벌류(gall wasp)

1. 국내에서 참나무과(참나무류와 밤나무류)에 기생한다.

2. 밤나무혹벌(Dryocosmus kuriphilus)

- 밤나무 눈에 둥근 혹을 만드는 중요 해충이다.

- 유충은 눈 조직에서 월동하며 봄에 혹이 형성되면서 작은 잎이 총생하며, 새 가지가 자라지 못해 개화 결실이 되지 않는다. 

- 성충은 7월에 출현하며 몸길이 3mm 정도로 작고 흑갈색을 띠며 광택이 있다. 

- 산란한 알은 8월 상순에서 하순 사이에 부화하여 눈 속으로 들어간다.

- 내충성 품종을 심어야 하며, 산란 방지를 위해 6월 하순부터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를 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한다.

3. 참나무순혹벌, 어리상수리혹벌, 갈참나무혹벌, 신갈마디혹벌은 연 1~2회 발생하며, 참나무류를 가해한다. 방제방법은 천적인 중국긴꼬리좀벌, 남색긴꼬리좀벌, 노란꼬리좀벌, 상수리좀벌 등을 보호한다.

나무이류(psyllid)

1. 매미를 닮았으며, 대부분 흡즙성 해충이지만, 혹을 만드는 것도 있다.

2. 큰팽나무이

- 큰팽나무이는 팽나무를 가해한다.

- 약충이 잎 뒷면에 기생하면서 잎 표면에 뿔 모양의 벌레혹을 만든다.

- 잎 뒷면은 분비물로 백색의 깍지를 만들어 덮는다.

- 연 2회 발생하는데, 여름형은 깍지가 동심원형이며, 가을형은 편심원형이다. 

- 방제 : 5월 하순부터 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 2000배액, 디노테퓨란 수화제 1000배액을 10일 간격으로 2~3회 뿌린다.

 

참고서적: [전면개정판] 조경수 식재관리기술(이경준, 이승제)

 

국내 주요 조경수 해충 (천공성 해충)

 

국내 주요 조경수해충 (천공성 해충)

나무좀류(bark beetle) 1. 갈색 내지 흑색의 작은 원통형 곤충이다.(국내 20여 종이 수목을 가해) 2. 수피 밑의 인피부(내수피)를 먹는 종류와 암브로시아(ambrosia)곰팡이를 먹는 두 종류로 나눈다. 3. 나

codekiller.tistory.com

국내 주요 조경수 해충 (흡즙성 해충)

 

국내 주요 조경수 해충(흡즙성 해충)

진딧물류(aphid) 1. 깍지벌레, 응애와 함께 조경수의 3대 흡즙성 해충이다. 2. 몸길이가 3mm 이내(왕진딧물은 5mm)로 작다. 3. 번식이 매우 빨라서 무궁화에 기생하는 목화진딧물은 연 24회까지 번식이

codekiller.tistory.com

국내 주요 조경수 해충 (식엽성 해충)

 

국내 주요 조경수해충 (식엽성 해충)

식엽성 나방류(moth) 1. 나비목에는 나방류가 90%를 차지함 2. 나방은 대부분 야행성, 유충은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는 주요해충임. 3. 나방류에는 식엽성 해충, 천공성 해충, 종실해충 등으로 나뉨

codekiller.tistory.com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