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 > 산림보호 > 병해충> 솔잎혹파리
솔잎혹파리 | |
학명 |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학명(영명) | Pine Needle Gall Midge |
목명 / 과명 | 파리목 / 혹파리과 |
분포 | 한국, 일본 |
가해수종 | 소나무, 곰솔 ※ 가해수종의 특징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소나무류중에는 2엽 송인 2수종만이 피해를 받으나 외국수종으로서는 Pinus massoniana, P. nigra, P. tabulaformis, P. sylvestris, P. taiwanensis 등을 가해하며 이들 가해수종 의 분류학적 특징은 소나무속 중 Sylvestres 아절 또는 Lariciones 아절에 속하는 수종들이다. |
형태 | -성충의 몸길이는 암컷이 2.0∼2.5mm, 수컷이 1.5∼1.9mm이다. -날개의 길이는 암컷이 2.3mm, 수컷이 2.0mm 이며 몸은 황색에서 황갈색이다. -알은 긴 타원형으로 장경이 0.5mm, 단경이 0.1mm 정도이며 노란색이다. -유충의 몸길이는 1.8∼2.8mm로서 다리가 없으며 어릴 때는 황백색이나 성숙하면 황색을 띠는 것이 보통이나 흰색을 띠는 개체도 있다. -유충의 가슴 제 1절에 Y자 모양의 흉골이 있다. -번데기의 몸길이는 2.3∼2.5mm로서 암황색이다. |
피해 | -1929년 서울 창덕궁과 전남 목포(무안)에서 피해가 확인되었다. -1920년대 초반에 우리나라에 침입한 것으로 추정되며 일본에서는 1901년에 최초로 기록된 것으로 보아 일본에서 도입된 해충이라 판단된다. -1934년 부산 구덕산에서, 1964년에는 충북 단양에서 발생하였다. -1970년대 초에 부산에서 확산된 것은 경주에까지, 서울지방의 피해는 춘천에까지 확대되었다. -1973년에 충남 아산시의 현충사에서 발생, 1981년에는 영동지방인 강릉시에서, 1982년에는 속초시 설악동, 동해시에서, 1984년에는 강원 평창군에서, 1989년에는 제주도 서귀포에서 계속 발생하였다. -1995년 이후는 전국에서 솔잎혹파리 피해가 나타났다. 북한에서는 1950년 또는 1960년대 초반 원산에서부터 발생하였다. -1970년대 후반에 서부 휴전선지역에서 발생하였고, 철원 평강역은 1980년대 초반에 남쪽으로부터 확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2007년 평양시의 주변 소나무림에서도 솔잎혹파리의 피해가 목격되었다. 유충이 솔잎 기부에 벌레혹을 형성하고 그 속에서 수액을 흡즙가해하여 솔잎을 일찍 고사하게 하고 임목의 생장을 저해한다. 6월 하순경부터 부화유충이 잎 기부에 충방을 형성하기 시작하여 잎기부 양쪽 잎의 표피조직과 후막조직이 유합되면서 벌레혹이 부풀기 시작하며 동시에 잎 생장도 정지되어 건전한 솔잎 길이보다 1/2이하로 짧아진다. 9월이 되면 벌레혹의 내부조직이 파괴되면서 벌레혹 부분은 갈색으로 변하기 시작한다. 11월이 되면 벌레혹 내부는 공동화되며 유충은 탈출하여 땅으로 떨어지고 피해잎은 겨울동안 잎 전체가 황갈색으로 변하면서 고사한다. 벌레혹은 수관 상부에 많이 형성되며 피해가 심할 때는 정단부 새가지가 거의 전부 고사한다. 새로운 지역으로 침입하면 처음에는 단목적으로 피해를 받으나 점차 군상으로 확대된 후 전면적으로 확산된다. 5∼7년차에 피해극심기에 도달되어 임목의 30%정도가 고사하기도하나 지역에 따라서는 80%까지 고사한 경우도 있다. 피해극심기 이후는 충밀도가 감소되어 피해가 회복되는 경향을 보이며 회복 지역은 년도에 따라 피해의 증감현상이 있으나 최초 피해 극심기때와 같이 심한 피해를 받지는 않는다. 지피 식생이 많은 임지, 북향 임지 및 산록부 임분에서 피해 임목이 많이 고사하며 동일 임분 내에서는 수관 폭이 좁은 임목이 많이 고사된다. 이 해충의 피해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는 보통 벌레혹 형성율을 사용한다. 피해도 <경>은 벌레혹 형성율 19%이하로 피해가 외적으로 잘 나타나지 않는 피해정도이고 피해도 <중>은 벌레혹 형성율 20∼49%로 임분과 단목을 멀리서 볼 때 갈색으로 보이며 수관 상부가 엉성하다. 피해도 <심>은 이 해충의 피해허용수준인 벌레혹 형성율 50%이상의 피해를 받는 임지로서 임분이 회백색으로 보이며 솔잎혹파리의 최초 발생후 5∼8년 되는 임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생태 | 연 1회 발생하며, 지피물밑이나 1∼2cm 깊이의 흙속에서 유충으로 월동한다. 5월 상순∼6월 중순에 고치를 짓고 그 속에서 번데기가 되며 번데기 기간은 20∼30일로서 기온과 습도에 따라 차이가 많다. 성충우화기는 5월 중순∼7월 중순으로 우화최성기는 6월 상·중순이며 특히 비가 온 다음 날에 우화수가 많다. 우화최성기는 지방에 따라, 임지방위, 표고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으며 이는 봄철의 기온, 우화기의 강우량 등과 관계가 깊다. 1일중 우화시각은 11시∼18시이며 15시경에 가장 많이 우화한다. 우화직후의 성충은 임내의 하층목 또는 풀잎 사이를 날면서 교미를 한다. 교미 후 수컷은 수 시간내 죽고 암컷은 산란을 위해 1∼2일 생존한다. 암컷은 새로 자라고 있는 솔잎에 평균 6개씩 산란하며 포란수는 110개 정도이나 실제 산란수는 90개 정도이다. 알은 5∼6일후 부화하여 솔잎 기부로 내려가 잎 사이에서 수액을 빨아 먹으면서 벌레혹으로 형성한다. 6월 하순 벌레혹이 형성되기 시작하면서 솔잎 생장은 중지된다. 벌레혹의 크기는 길이 6∼8mm, 폭 2mm 정도이고 벌레혹당 유충수는 1∼18마리로 평균 5.7마리이다. 유충은 2회 탈피하며 6월부터 8월 하순∼9월 상순까지는 1령기, 9월하순까지는 2령기, 그 후는 3령기이며, 2령기부터 빠르게 성장한다. 유충은 9월 하순∼다음해 1월(최성기 11월중순)에 벌레혹에서 탈출하여 낙하하며 특히 비오는 날에 많이 낙하하여 지피물밑 또는 흙속으로 들어가 월동한다. 유충 낙하시기는 남부보다 북부지방에서, 해송보다 소나무에서 다소빠르다. 솔잎혹파리 피해가 특히 문제되는 지역은 이 해충이 확산되고 있는 소위 피해선단지이다. 피해는 최초 침입 후 개체군밀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5∼7년차에 최고에 도달한다. 그 후에는 급격히 밀도가 감소하여 벌레혹 형성율이 낮은 상태에서 안정되는 현상을 나타낸다. 장기적 밀도변동의 주기는 전국이 3개 권역으로 나누어지며 권역별 주기도 12∼20년의 주기성을 보인다. 최고 밀도이후 급격한 밀도 감소의 주요 요인으로는 유충부화기에 소나무의 생리적 쇠약이다. 또한 벌레혹 형성 실패, 벌레혹 내 유충기에 피해잎의 조기 고사에 따른 유충의 사망, 땅속 서식기 때의 토양함수율 및 천적류에 의한 사망 등이다. 방제법 피해가 회복되어 안정된 임지에서는 벌레혹내 유충기의 사망률은 매우 낮다. 이 해충에 의한 소나무의 피해는 직경생장과 수고생장의 감소는 물론 새가지 및 임목의 고사까지 일으킨다. 이러한 심한 피해는 벌레혹 형성율이 최고인 년도와 그 다음해에 주로 나타나고 회복단계에서는 벌레혹 형성율은 급속히 감소하나 과거의 피해 때문에 생장상태가 불량하다. 피해극심기를 지날 때 정아의 새가지는 90%이상 고사하고 임목고사율이 보통 20∼30%이나 일부지역에서는 80%까지 고사한 경우도 있다. |
방제법 | 화학적 방제 - 벌레가 외부로 노출되는 시기가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침투성 약제 나무주사가 가장 효율적인 방제법이다. - 임목을 보존해야 할 주요지역, 벌레혹 형성율이 20%이상으로 피해 가 심한 임지에 적용하며 시기는 솔잎혹파리 산란 및 부화최성기인 6월 중에 포스파미돈 액제(50%), 이미다클로프리드 분산성액제 (20%) 또는 아세타미프리드 액제(20%)를 피해목의 흉고직경 cm당 0.3∼1㎖를 줄기에 구멍을 뚫고 주입한다. - 피해도‘중’이상인 지역에 강우시 약제가 식수원이나 농경지 등으로 유입될 우려가 없는 임지나 조경수 및 정원수 등의 피해목에 적용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월동을 위해 지표면으로 낙하하는 유충낙하기인 11월 하순∼12월 상순 이미다클로프리드 입제(2%), 카보퓨란 입제(3%)를 ha당 180kg을 지면에 살포한다. ※ 위의 근부처리 방법과 지표약제 살포방법은 지중 및 지표에 서식하는 곤충류 등 타 동물에 나쁜 영향을 주어 생태계의 파괴를 야기시킬 수 있으므로 대면적 적용은 피해야 한다 생물적 방제 - 기생성 천적으로 솔잎혹파리먹좀벌(Inostemma seoulis), 혹파리살이먹좀벌(Platygaster matsutama), 혹파리등뿔먹좀벌(Inostemma hockpari), 혹파리반뿔먹좀벌(Inostemmamatutama)이 있으므로 이들 천적이 분포하지 않는 지역이나 기생율이 낮은 지역에 이식한다. - 솔잎혹파리먹좀벌 또는 혹파리살이먹좀벌을 5월 하순∼6월 하순에 ha당 20,000마리를 이식한다. - 포식성 곤충류로 11종, 포식성 거미류로 늑대거미를 비롯한 25종, 포식성 조류로 박새, 쇠박새, 곤줄박이 등 14종, 병원미생물로 백강균 등 10여종 등을 보호한다. 임업적 방제 - 피해극심기 때의 피해목 고사율은 밀생 임분에서 높으므로 간벌, 불량치수 및 피압목을 제거하여 임내를 건조시킴으로써 솔잎혹파리 번식에 불리한 환경을 조성하며 또한 이 해충이 확산되고 있는 지역에 미리 실시하면 수관이 발달하여 고사율이 낮아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