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나무는 어떻게 원추형의 수관을 유지하며, 원추형으로 자라는 이점은 무엇인가?
정답 끝눈(정아)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정아지가 곁눈(측아)으로부터 나온 측아지보다 더 길게 자라는 정아우세현상을 유지하면 나무의 모양이 원추형으로 되고, 겨울철 수관에 눈이 적게 쌓여 눈피해를 적게 받는다. 무게중심이 아래쪽에 있어 바람에도 잘 견딘다. 설명 원추형으로 자라는 교목은 본래 원줄기(주간, main stem)가 하나로 유지되는데, 원줄기에 붙어 있는 굵은 가지와 여기에서 다시 갈라져 나간 가지마다 가지 끝에 끝눈(정아)이 자리 잡고 있다. 끝눈에서 만들어진 정아지가 곁눈에서 만들어진 측아지보다 더 길게 자랄 경우 정아우세현상이라고 하며, 이 현상에 의하여 나무 모양이 원추형으로 된다. 정아우세현상은 끝눈이 옥신계통의 식물호르몬을 생산하여 곁눈의 생장을 억제하기 때문에 나타난다. 어린 시절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