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빙으로 유도되는 세포탈수 → 막 구조 손상
(원형질 분리, 원형질 마름, 원형질 응고)
* 피해를 일으키는 다른 원인들 - 얼음 결정의 물리적 피해 : 얼음결정이 조직과 기관을 밀면서 발생 - 물관의 공동화(공기색전증) : 세포내 기포생성 - 바람이나 태양에 노출되어 발생하는 동계엽소 - 얼음의 봉쇄로 인한 저산소 스트레스 - 손상된 피해부위를 통해 침입하는 질병 * 동결 속도와 녹는 속도도 중요!! |
※ 수종별 내한성
빙핵의 형성물질 없는 순수한물의 동결온도는 -48.3도씨, 따라서 빙행이 없으면 과냉각유지 |
- 한대 수종(자작나무)은 낮은 온도에서 얼지 않음, 과냉각 유지 (동결회피성)
- 흡착수를 제외한 모든 물이 빠져나간 극심한 탈수상태를 견딤 (건조내성)
<구조적 얼음방벽>
|
<추위에 민감하고 취약한 부위>
- 번식기관 > 생장기관 - 뿌리 > 줄기 - 고산지대 수목 (여름철) 번식지 (민감함) > 미성숙 잎 > 확장된 잎 > 잎눈 > 목부조직 (겨울철) 꽃눈 > 잎눈 > 잎 > 줄기 |
<동상해 피해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식물 종/산지 - 부위별 내한성 정도와 형성여부 - 추위의 정도, 잎 표면의 물 존재여부 - 조직 내의 온도가 낮아지는 속도 - 잎의 안팎에 존재하는 세균 - 잎/가지 등의 상처여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