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양색의 표시방법
- Munsell color chart -> ex) 7.5YR 6/4 (색상 - 명도(Y축) - 채도(X축) 순으로~)
Y : Yellow R : Red 6 : 명도 ::: Y축 명도 6 4 : 채도 ::: X축 채도 4 |
토양색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1) 유기물
유기물은 암갈색 or 흑색을 띰, 유기물이 많으면 흑색(검은색 토양)
(참고) 부식(humus) - 양분이 모두 빠져나감을 의미함.
2) 철과 망간
- 철 :
밭토양에서 산화상태 (Fe3+) , 3가 철의 색은 주로 붉은색
논과 같이 환원조건이 발달한 토양에서 철은 환원형태인 Fe2+ 로 존재, 2가 철의 색은 주로 회청색이나 녹색
- 망간 :
산화상태 (Mn4+) 밭은 붉은색, 환원상태에서는 어두운색을 띰.
3) 수분함량
수분함량이 많은 토양 : 짙은색
수분함량이 적은 토양 : 옅은색
1) 토양공기의 조성
2) 토양의 통기성
산소충분 => | 산화 | CO₂ | NO3 | SO₄²- | Fe3+ | Mn4+ |
산소부족 => | 환원 | CH₄ | N2NH3 | S,H2S | Fe2+ | Mn2+, Mn3+ |
1) 토양의 비열과 용적열용량
2) 토양중에서 열전달
3) 토양온도의 변화
4) 토양온도의 조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