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 버즘나무방패벌레를 8% 클로티아니딘 입상수용제로 방제하려 한다. 2,000배 희석 살포액을 100 L 조제하여 수관 살포할 때, 필요한 약량과 적절한 사용법을 옳게 연결한 것은? ① 50 g - 입제살포법 ② 50 g - 분무법 ③ 50 mL - 관주법 ④ 20 mL - 연무법 ⑤ 20 g - 미스트법
정답 : 2 해설 :
* 입상수용제 : 수용성 원제와 수용성 보조제를 이용하여 입상화한 제제, 물에 희석 시 제제에 사용된 모든 성분이 용해됨. (바람에 날리는 문제가 해결됨)
122. 농약 안전사용기준을 설정하는 데 고려하는 내용이 아닌 것은? ① 사용 횟수 ② 적용대상 농작물 ③ 어독성과 방제효과 ④ 사용제형과 사용시기 ⑤ 약제의 잔류허용기준
정답 : 3 해설 :
③ 어독성과 방제효과
농약등의 안전사용기준의 세부기준
123.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지침」 소나무 재선충병 집단발생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1개 표준지 크기는 0.04ha(20m×20m)이다. ② 1개 표준지 내 소나무류 비율이 25% 이상이다. ③ 1개 표준지 내 소나무류 중 20% 이상 고사한 경우이다. ④ 피해가 집단으로 발생한 경북 경주ㆍ안동ㆍ고령ㆍ성주ㆍ대구 달성 등 7개 지역을 특별방제구역으로 지정하였다. ⑤ 피해고사목과 기타고사목이 집단적으로 발생한 표준지가 1년 동안 25개 이상 예찰ㆍ조사된 읍ㆍ면ㆍ동을 말한다.
정답 : 3 해설 :
③ 1개 표준지 내 소나무류 중 20% 이상 고사한 경우이다.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지침 일부개정안의 내용에서 시험문제가 출제되었네요.
“집단발생지”란 피해고사목과 기타고사목이 집단적으로 발생한 표준지가 1년동안25개 이상 예찰·조사된 읍·면·동을 말한다. 단, 1개 표준지의 크기는 0.04ha(20mx20m)로 하며, 표준지 안에 소나무류 비율이 25% 이상이고 소나무류가 10% 이상 고사한 경우로 한정한다.
124. 「2025년도 산림병해충 예찰ㆍ방제계획」 소나무재선충병 확산 저지를 위한 기본방향 및 세부추진 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피해지역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한 전략방제 추진력을 확보한다 . ② 매개충 혼생 권역(충남ㆍ경북)은 9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방제한다. ③ 북방수염하늘소 권역(경기ㆍ강원ㆍ충북)은 9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방제한다 ④ 대규모 반복ㆍ집단적 피해 발생지에 대한 수종전환 방제 적극 도입한다. ⑤ 솔수염하늘소 권역(전북ㆍ전남ㆍ경남ㆍ제주) 은 9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방제한다.
정답 : 3 해설 :
③ 북방수염하늘소 권역(경기ㆍ강원ㆍ충북)은 9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방제한다 (8월부터 ~ 이듬해 4월)
125. 「산림보호법 시행령」 제12조7에 따른 ‘나무의사 등의 자격취소 및 행정 처분의 세부기준' 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나무의사 등의 자격증을 빌려준 경우 1차 위반 시 자격정지 2년에 처한다 ② 위반행위가 둘 이상일 경우 각각의 처분기준이 다를 때 그 중 무거운 처분기준을 따른다. ③ 거짓이나 부정한 방법으로 나무의사 등의 자격을 취득한 경우 1차 위반 시 자격이 취소된다. ④ 둘 이상의 처분기준이 같은 자격정지인 경우에 각 처분 기준일을 합산한 기간동안을 자격 정지하되 5년을 초과할 수 없다. ⑤ 위반행위의 횟수에 따른 행정처분 기준은 최근 3년 동안 같은 위반 행위로 행정처분을 받은 경우에 적용 받는다.
정답 : 4 해설 :
④ 둘 이상의 처분기준이 같은 자격정지인 경우에 각 처분 기준일을 합산한 기간동안을 자격 정지하되 5년을 초과할 수 없다. (둘 이상의 처분기준이 같은 자격정지인 경우에는 각 처분기준을 합산한 기간 동안 자격을 정지하되 3년을 초과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