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KILLER

반응형

[해설] 제11회 수목관리학 문제풀이 106~110번
[해설] 제11회 수목관리학 문제풀이 106~110번

[해설] 제11회 수목관리학 문제풀이 106~110번

106. 물리적 충격에 의해 손상된 수피의 치료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구획화된 상처조직에 건전한 수피를 이식한다.
② 치료가 끝난 상처는 즉시 햇빛에 노출시킨다.
③ 들뜬 수피는 즉시 제자리에 밀착시키고 작은 못이나 테이프로 고정한다.
④ 상처부위를 깨끗하게 손질한 다음 상처도포제를 여러 번 두껍게 바른다.
⑤ 상처 가장자리는 건전조직을 일부 제거하더라도 보기 좋은 모양으로 다듬어 준다.

 

정답 :  3
해설 :

상처리료 (수목관리학)

구획화된 상처조직에 건전한 수피를 이식한다. (구획화[CODIT]가 진행된 상처조직에는 외과적인 수술을 해서는 안됨)
② 치료가 끝난 상처는 즉시 햇빛에 노출시킨다. (녹화마대나 색깔있는 테이프 등으로 가려줌)
③ 들뜬 수피는 즉시 제자리에 밀착시키고 작은 못이나 테이프로 고정한다.
④ 상처부위를 깨끗하게 손질한 다음 상처도포제를 여러 번 두껍게 바른다. (얇게 바르되, 마른 다음 반복해서 발라줌)
상처 가장자리는 건전조직을 일부 제거하더라도 보기 좋은 모양으로 다듬어 준다. (상처부위를 둥글게 혹은 방추형으로 가다듬는 것은 상처의 폭을 넓히기 때문에 해서는 안된다.)

107. 가지 기부에서 선단부까지의 길이가 6.0 m와 9.0 m인 두 개의 골격지를 줄당김으로 보강하고자 한다. 이때 기부로부터 각 고정장치의 설치 위치가 옳은 것은?
(단 위치 결정은, 「ANSI A300」을 준용한다.)
     6.0m 골격지       9.0m 골격지
① 1.0 m                  2.5 m
② 2.0 m                  3.0 m
③ 3.0 m                  4.5 m
④ 4.0 m                  6.0 m
⑤ 5.0 m                  7.5 m

 

정답 :  4
해설 :

④ 4.0 m      6.0 m

[줄당김 설치위치]
- 가지나 줄기를 지지할 때는, 철선 고정장치는 지지될 가지 길이의 2/3지점 부근에 설치(ANSI A300)
- 6.0m x 2/3 = 4m
- 9.0m x 2/3 = 6m

108. 수목의 동해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사시나무, 자작나무, 오리나무는 동해를 자주 받는다.
② 생육기간 중에 낮은 기온으로 나타나는 저온 피해를 의미한다.
③ 고위도 생육 수종은 저위도 생육 수종보다 내한성이 약하다.
④ 피해를 받은 낙엽 활엽수의 어린가지를 이른 봄에 제거한다.
⑤ 봄에 개화하고 열매가 다음 해에 익는 수종은 열매가 월동 중에 피해를 받을 수 있다.

 

정답 :  5
해설 :

사시나무, 자작나무, 오리나무는 동해를 자주 받는다. ㅠ
* 내한성 강 : 자작나무, 오리나무, 사시나무, 버드나무,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류, 주목
* 내한성 약 : 삼나무, 편백, 해송, 금송, 히말라야시다, 배롱, 줄사철, 대나무류, 사철, 가이즈카향나무, 능소화, 벽오동, 오동나무, 포플러
생육기간 중에 낮은 기온으로 나타나는 저온 피해를 의미한다. (생육기간 중에 빙점 전후 온도에서 나타나는 저온피해는 냉해이다.)
③ 고위도 생육 수종은 저위도 생육 수종보다 내한성이 약하다. (고위도 생육 수종은 내한성 강하다.)
피해를 받은 낙엽 활엽수의 어린가지를 이른 봄에 제거한다.
[전정의 일반적인 시기]
- 수목이 휴면상태에 있는 늦가울이나 이른 봄 (한여름도 괜찮음) - 봄에 형성층의 세포분열이 왕성하므로
[피해를 받은 어린가지]
- 죽은가지, 부러진가지, 병든 가지 등은 연중 아무때나 전정할 수 있다.
[활엽수의 전정]
- 가을에 낙엽이 진 후 봄에 생장개시하기 전 휴면기간 중에는 아무때나 전정가능하다.
[침엽수의 전정]
- 이른 봄에 새 가지가 나오기 전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상처부위에 동해를 입을 수 있음)
⑤ 봄에 개화하고 열매가 다음 해에 익는 수종은 열매가 월동 중에 피해를 받을 수 있다.

109. 수목의 침수 후 나타나는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줄기의 신장이 촉진된다.
② 뿌리에서 다량의 옥신이 생성된다.
③ 잎이 안으로 말리고 오래 붙어있다.
④ 주목은 잎 아랫면에 과습돌기 (edema, 수종, 물혹)가 형성된다.
⑤ 벚나무, 층층나무는 침수 후 과습토양에서 큰 피해가 없다.

 

정답 :  4
해설 :

① 줄기의 신장이 촉진된다. (생장 둔화)
② 뿌리에서 다량의 옥신이 생성된다. (에틸렌 분비되어 엽병이 누렇게 변하고 잎이 탈락)
③ 잎이 안으로 말리고 오래 붙어있다. (잎의 탈락)
④ 주목은 잎 아랫면에 과습돌기 (edema, 수종, 물혹)가 형성된다.
주목은 과습 피해를 받으면 잎에 물혹(edema)이 발생
벚나무, 층층나무는 침수 후 과습토양에서 큰 피해가 없다.
* 과습에 약한 수종
- 벚나무류, 단풍나무류(설탕, 노르웨이), 사시나무, 아까시나무, 자작나무류, 층층나무
* 과습에 강한 수종 

- 낙우송, 단풍나무류(은단풍, 네군도, 루부룸), 물푸레나무, 미국느릅나무, 버드나무류, 버즘나무류, 오리나무류, 주엽나무, 포플러류

110. 수목의 볕뎀(볕데기) 피해 및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어두운 색깔의 수피를 가진 나무는 피해가 적다.
② 햇볕에 노출된 토양의 온도가 상승하면 피해가 심해진다. 
③ 햇볕에 노출된 줄기를 검은색 끈끈이롤트랩으로 감싼다.
④ 줄기의 상단부에서 피해가 심하여 이 부분을 마대로 감싼다. 
⑤ 장마 후 고온 건조하면 묵은 잎보다 새잎에서 탈수 현상이 심하다.

 

정답 :  2
해설 :

*볕뎀(볕데기) = (피소, 皮燒)

① 어두운 색깔의 수피를 가진 나무는 피해가 적다. (수피색이 짙으면 피소의 피해가 큼, 벚나무류는 수피색이 짙어 성목이 되어도 피소에 취약함)
② 햇볕에 노출된 토양의 온도가 상승하면 피해가 심해진다. 
③ 햇볕에 노출된 줄기를 검은색 끈끈이롤트랩으로 감싼다. (예방법 : 해가림, 수목테이프나 녹화마대로 줄기감싸기, 줄기에 흰색 페인트나 도포제 바르기, 관수와 멀칭)
④ 줄기의 상단부에서 피해가 심하여 이 부분을 마대로 감싼다. (줄기의 상단부가 아닌 지표면에 가까운 수피)
장마 후 고온 건조하면 묵은 잎보다 새잎에서 탈수 현상이 심하다. (7월 장마 이후 경화되지 않은 잎에서 받는 피해는 엽소이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