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KILLER

반응형
[해설] 제11회 수목관리학 문제풀이 101~105번
[해설] 제11회 수목관리학 문제풀이 101~105번

[해설] 제11회 수목관리학 문제풀이 101~105번

101.식재지 환경과 그에 적합한 수종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토양이 척박한 지역 - 보리수나무, 곰솔
② 배수가 잘 안되는 지역 - 왕버들, 낙우송
③ 토양이 건조한 지역 - 호랑가시나무, 눈향나무
④ 고층건물에 가려진 그늘 지역 - 느티나무, 개잎갈나무
⑤ 염분을 함유한 바람이 많은 해안 지역 – 때죽나무, 향나무
 
정답 :  4
해설 :

④ 고층건물에 가려진 그늘 지역 - 느티나무, 개잎갈나무 (느티나무, 개잎갈나무는 양수)
분류극음수음수중성수양수극양수
기준전광의 1~3%전광의 3~10%전광의 10~30%전광의 30~60%전광의 60% 이상
수종개비자나무, 굴거리나무, 금송, 나한백, 백량금, 사철나무, 식나무, 자금우, 주목, 호랑가시나무, 황칠나무, 회양목

(암기법 : 주식회사 황금개굴)
가문비나무, 너도밤나무, 녹나무, 단풍나무, 비자나무, 서어나무, 솔송나무, 송악, 전나무, 칠엽수, 함박꽃나무개나리, 느릅나무, 동백나무, 때죽나무, 마가목, 목련, 물푸레나무, 산사나무, 산딸나무, 산초나무, 생강나무, 수국, 잣나무, 은단풍, 참나무류, 철쭉, 편백, 탱자나무, 피나무, 화백, 회화나무가죽나무, 개잎갈나무, 과수류, 낙우송, 느티나무, 등, 메타세쿼이아, 모감주나무, 무궁화, 라일락, 밤나무, 배롱나무, 백합나무, 버즘나무, 벚나무, 삼나무, 산수유, 소나무, 아까시나무, 오동나무, 오리나무, 은행나무, 이팝나무, 자귀나무, 주엽나무, 쥐똥나무, 측백나무, 층층나무, 향나무대왕소나무, 두릅나무, 버드나무, 방크스소나무, 붉나무, 연필향나무, 예덕나무, 잎갈나무, 자작나무, 포플러

(암기법 : 연새[버드]대, 낙방, 자포)

102.도시의 수목 생육 환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대도시는 건물에 의한 대기의 흐름 변화 등으로 미기후의 변화가 크다.
② 대도시의 야간 상시조명이 주변 수목의 생식생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③ 대기오염이 심한 도심환경의 경우 식재할 수 있는 가로수의 수종 선택이 제한될 수 있다.
④ 도시의 토양은 주기적인 낙엽 제거로 산림토양에 비해 용적밀도는 낮고, 투수계수는 높다.
⑤ 남부지방 수종을 중부지방 도심에 식재하면 극단적 기상 발생 시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정답 :  4
해설 :

④ 도시의 토양은 주기적인 낙엽 제거로 산림토양에 비해 용적밀도는 낮고, 투수계수는 높다. (용적밀도가 낮다는 표현은 다져지지 않은 상태를 의미함 - 도시의 용적밀도는 높다, 투수계수가 높다는 것은 토양으로 침투하는 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 도시의 투수계수는 낮다. )

103.매립지 식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폐기물매립지에는 키가 작고 천근성이며 내습성이 있는 수종을 식재한다.
② 해안매립지에는 곰솔, 감탕나무, 아까시나무, 녹나무 등을 식재한다.
③ 폐기물매립지 식재지반에는 가스수집정(우물)과 가스배출용 배기파이프를 설치한다.
④ 해안매립지에서는 전기전도도(EC)가 0.7 dS/m 이하인 물을 관수하여 토양 내 염분을 제거한다.
⑤ 해안매립지 식재지반에는 점토질 토양을 갯벌 바닥에 40cm 이상의 두께로 포설하여 염분차단층을 설치한다.
 
정답 :  5
해설 :

⑤ 해안매립지 식재지반에는 점토질 토양을 갯벌 바닥에 40cm 이상의 두께로 포설하여 염분차단층을 설치한다. (
첫번째, 배수를 위한 도랑을 만든다.
두번째, 관수를 통해 염분이 용탈되도록 한다.
세번째, 나트륨이 주요 염분일 경우 석고를 시비한다. 
네번째, 토양표면을 멀칭하여 증발량을 감소시켜서 염분이 올라오는 것을 막는다.(수피, 우드칩 5cm 두께로 멀칭)
다섯번째, 고농도 비료를 사용하여 염분의 축적을 줄여준다.
여섯번째, 염분의 상승을 막을 수 있는 차단층(쇄석층)을 중간에 만들어준다.

104. 전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죽은 가지는 지륭을 손상시키지 않고 바짝 자른다.
② 3개의 동일세력줄기가 발생한 낙엽활엽교목은 그중 1개를 억제한다.
③ 이듬해 꽃을 감상하고자 하는 백목련, 등, 치자나무는 당년에 꽃이 지자마자 전정한다.
④ 토피어리(topiary) 수목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생육기간 중에 2회 이상 전정한다.
⑤ 송전선 주변의 수목은 필요한 만큼만 전정하고, 가지가 전선을 피해 자랄 수 있도록 유도한다.
 
정답 :  2
해설 :

② 3개의 동일세력줄기가 발생한 낙엽활엽교목은 그중 1개를 억제한다. 
(동일세력줄기 절단전정의 정확한 사례가 없어보이네요. 아래의 의견은 제 의견이니 참고만 하심 될듯하네요. 낙엽활엽교목의 동일세력줄기 절단전정의 사례나 정보가 있다면 수정토록 하겠습니다.)
- 간피융기선이 육안파악이 되는 경우에는 가상으로 수직선을 그어 이등분하고 제거
- 간피융기선이 함몰되어 육안파악이 안되는 경우에는 매몰된 수피가 많이 차지하는 부분을 제거.

105. ( )안에 들어갈 최솟값으로 적합한 것은? (단 ,「ANSI A300」을 준용한다.)
아래 그림과 같이 수간에 공동이 있는 수목은 외곽의 조직이 정상이어도 도복의 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건전한 목부의 두께(A)가 전체 직경(B)의 (  )이상이면 안전한 것으로 판단할수 있다.

① 1/2
② 1/3
③ 1/4
④ 1/5
⑤ 1/6
 
정답 :  5
해설 :

⑤ 1/6

「ANSI A300」 기준을 모두 공부할 수는 없겠지만, 기본서로 불리우는 책들에는 아래와 같이 기술되어 있음.
1. 건전 목질부의 평균 두께(횡단면)가 수간직경의 1/6 이상이면 도복 위험이 적다고 판단.
2. 수피 둘레의 70% 이상이 온전하게 남아 있을 때 남아 있는 건전 목질부의 평균 두께가 수간직경의 1/3 이상이면 도복 위험이 적단고 판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