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KILLER

반응형

[해설] 제11회 수목생리학 문제풀이 56~60번
[해설] 제11회 수목생리학 문제풀이 56~60번

[해설] 제11회 수목생리학 문제풀이 56~60번


56. 중력을 감지하는 관주세포(평형세포)가 포함된 뿌리의 조직은? 
① 내초
② 표피
③ 중심주
④ 뿌리골무
⑤ 분열지연중심부

 

정답 : 4
해설 :

④ 뿌리골무
근관(뿌리골무) :
- 뿌리의 끝부분을 보호
- 뿌리를 앞으로 전진시킴
- 중력의 방향을 감지(평형세포)하여 굴지성을 유도
- 탄수화물로 만든 무시겔(mucigel)을 분비하여 윤활제 역할을 함.

* 중심주 : 수.
* 분열지연중심부 : 근관의 바로 뒤(가운데)에 존재하며, 분열조직에 비하여 분열을 많이 하지 않는 조직.

57. 성숙한 체세포(sieve cell) 에 있는 소기관만을 나열한 것은?
① 리보솜, 핵
② 리보솜, 액포
③ 색소체, 액포
④ 미토콘드리아, 핵  
⑤ 미토콘드리아, 색소체

 

정답 : 5
해설 :

리보솜, 핵 (핵과 리보솜은 성숙과정에서 소실)
리보솜, 액포 (리보솜, 액포는 성숙과정에서 소실)
③ 색소체, 액포  (액포는 성숙과정에서 소실)
④ 미토콘드리아, (핵은 성숙과정에서 소실)
⑤ 미토콘드리아, 색소체 (미토콘드리아, 색소체는 일부 소기관만 남음)

이 문제는 양성교재는 물론이고 수목생리학(이경준 교수)만 보아서는 풀수 없는 문제 같네요. 수목생리학에서 나오는 부분은 사부요소(sieve elements) 중 여러 종류의 세포 관련된 부분만 존재하고, 위 문제와 같이 체세포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습니다.

58. 지름이 큰 도관이 춘재에 환상으로 배열되는 수종만을 나열한 것은 ?
① 이팝나무, 느티나무, 회화나무
② 자작나무, 물푸레나무, 밤나무
③ 상수리나무, 목련, 아까시나무
④ 호두나무, 가래나무, 단풍나무
⑤ 신갈나무, 붉가시나무, 칠엽수


정답 : 1
해설 :

60번 문제 해설 "환공재" 참고

59. 줄기의 1차 분열조직과 이로부터 발생한 1차 조직의 연결이 옳은 것은?
① 원표피 - 내피
② 전형성층 - 주피
③ 개재분열조직 - 수
④ 기본분열조직 - 피층
⑤ 코르크 형성층 - 표피

 

정답 : 4
해설 :

10회 유사문제 보기

10회의 유사문제 확인하시고, 아래의 사항만 숙지하시면 되겠습니다.

1차 분열조직에는 원표피, 전형성층, 기본분열조직으로 구성됨.
1) 원표피에서 유래된 1차 조직 : 표피조직
2) 전형성층에서 유래된 1차 조직 : 물관, 체관
3) 기본분열조직에서 유래된 1차 조직 : 피층, 수

60. 다음 중에서 수액상승 속도가 빠른 
수종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 
① 가래나무 > 단풍나무 > 느티나무 > 소나무
② 단풍나무 > 느티나무 > 가래나무 > 소나무  
③ 느티나무 > 가래나무 > 단풍나무 > 소나무
④ 단풍나무 > 느티나무 > 소나무 > 가래나무
⑤ 느티나무 > 단풍나무 > 소나무 > 가래나무

 

정답 : 3
해설 :

구분 설명
환공재 - 춘재 도관의 지름이 추재 도관보다 크다.
나무류 , 화나무, 나무,나무, 푸레나무, 나무
(암기 : "환참, 회파티 물음")
산공재 - 춘재 도관의 지름이 추재 도관의 지름과 같음.
단풍나무, 련,  플러,  나무, 작나무, 버드나무,  나무, 플라타너스
(암기 : 산단풍, 목포에서 피자, 새벚 나타나스)
반환공재 - 크기가 컸던 봄의 도관이 여름으로 갈수록 작아져, 환공재의 산공재의 중간형태를 띠게됨
래나무,  두나무, 중국굴피나무
(암기 : 반가호)
*수액의 상승속도 : 활엽수(환공재) > 활엽수(산공재) > 침엽수(가도관)

③ 느티나무 (환공재) > 가래나무(반환공재) > 단풍나무(산공재) > 소나무 (가도관)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