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KILLER

반응형

[해설] 제11회 수목해충학 문제풀이 46~50번
[해설] 제11회 수목해충학 문제풀이 46~50번

[해설] 제11회 수목해충학 문제풀이 46~50번

46. 수목해충인 잎벌류와 기주수목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극동등에잎벌 - 진달래, 철쭉
② 남포잎벌 - 야광나무, 쥐똥나무
③ 솔잎벌 - 곰솔, 잣나무
④ 장미등에잎벌 - 찔레꽃, 해당화
⑤ 좀검정잎벌 - 개나리, 광나무

 

정답 : 2
해설 :

② 남포잎벌 - 야광나무, 쥐똥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47. 수목해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소나무허리노린재는 최근 정착한 외래해충으로 잣나무 종실을 가해한다.
② 황다리독나방은 일부 지역의 회화나무 가로수에서 돌발적으로 대발생하며, 섭식량도 많다.
③ 미국흰불나방은 북미로 출항하는 선박에 알덩어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받아야 한다.
④ 갈색날개노린재는 암컷성충이 산란을 위해 2년생 가지에 상처를 내기 때문에 가지가 말라죽게 된다.
⑤ 매미나방은 연 2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남부지방에서 3화기 성충이 확인되고 있다.

 

정답 : 1
해설 :

① 소나무허리노린재는 최근 정착한 외래해충으로 잣나무 종실을 가해한다.
② 황다리독나방은 일부 지역의 회화나무 가로수에서 돌발적으로 대발생하며, 섭식량도 많다. (층층나무만 가해하는 단식성)
미국흰불나방은 북미로 출항하는 선박에 알덩어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받아야 한다. (매미나방)
갈색날개노린재는 암컷성충이 산란을 위해 2년생 가지에 상처를 내기 때문에 가지가 말라 죽게 된다. (2년생 가지에 산란하는 해충은 매미류)
⑤ 매미나방은 연 2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남부지방에서 3화기 성충이 확인되고 있다. (년 1회 발생)

48. 수목해충별 가해부위, 연간 발생횟수, 월동태의 연결이 옳은 것은?
① 붉은매미나방 : 잎 - 1회 - 유충
② 솔알락명나방 :  잣송이 - 1회 - 성충
③ 사철나무혹파리 : 잎 - 1회 - 번데기
④ 루비깍지벌레 :  줄기ㆍ가지ㆍ잎  - 1회 –암컷성충
⑤ 밤혹응애(밤나무혹응애) : 잎 - 1회  – 암컷성충

정답 : 4
해설 :

해충 월동태 및 발생횟수 암기법

① 붉은매미나방 : 잎 - 1회 - 유충  (알로 월동)
② 솔알락명나방 :  잣송이 - 1회 - 성충 (유충으로 월동)
③ 사철나무혹파리 : 잎 - 1회 - 번데기  (유충으로 월동)
④ 루비깍지벌레 :  줄기ㆍ가지ㆍ잎  - 1회 –암컷성충
⑤ 밤혹응애(밤나무혹응애) : 잎 - 1회  – 암컷성충 (수회 발생함)



49. 다음 피해증상을 유발하는 수목해충은?

- 잎 아랫면에 기생하여 분비물로 흰색의 깍지를 만들어 덮는다.
- 여름형 깍지는 동심원형이고, 가을형은 편심원형이다.
- 잎 윗면에는 뿔 모양의 벌레혹을 만든다.

① 큰팽나무이
② 회화나무이
③ 뿔밀깍지벌레
④ 줄솜깍지벌레
⑤ 때죽납작진딧물

 

정답 : 1
해설 :

<큰팽나무이>
- 팽나무만 가해하는 단식성해충 (약충이 잎 뒷면에 기생하여 잎 표면에 고깔 모양 벌레혹[뿔모양 벌레혹] 만든다.)
- 잎 뒷면에 하얀색 털이 빽빽하게 남.
- 형태가 동심원형인 여름혐, 편심원형인 가을형으로 구분.
큰팽나무이
큰팽나무이

50. <보기>의 수목해충 중에서 광식성만을 모두 고른 것은?
<보기>
ㄱ. 뽕나무이
ㄴ. 미국흰불나방
ㄷ. 왕공깍지벌레
ㄹ. 전나무잎응애
ㅁ. 검은배네줄면충
ㅂ. 뽕나무깍지벌레
ㅅ. 식나무깍지벌레
ㅇ. 줄마디가지나방


① ㄱ, ㄴ, ㄷ, ㄹ
② ㄴ, ㄹ, ㅂ, ㅅ
③ ㄴ, ㅂ, ㅅ, ㅇ
④ ㄴ, ㅁ, ㅂ, ㅅ
⑤ ㄷ, ㄹ, ㅁ, ㅇ 

 

정답 : 2
해설 :

② ㄴ, ㄹ, ㅂ, ㅅ

ㄱ. 뽕나무이 (단식성)
ㄴ. 미국흰불나방  (광식성)
ㄷ. 왕공깍지벌레 (협식성)
ㄹ. 전나무잎응애 (광식성)
ㅁ. 검은배네줄면충 (단식성)
ㅂ. 뽕나무깍지벌레 (광식성)
ㅅ. 식나무깍지벌레 (광식성)
ㅇ. 줄마디가지나방 (단식성)

<단식성 해충 암기하기>
(암기법 : 줄회황밤혹자-솔까소가감까-아까시-소왕-뽕솔검)
줄마디가지나방 - 회화나무
회양목명나방 - 회양목
황다리독나방 - 층층나무
밤나무혹벌 - 밤나무
혹응애류 - 구기자혹응애, 붉나무혹응애, 회양목혹응애는 한기주만 가해
자귀뭉뚝날개나방 - 자귀나무, 주엽나무
-----------------------
솔껍질깍지벌레 - 소나무, 곰솔
소나무가루깍지벌레 - 소나무, 곰솔
감나무주머니깍지벌레 - 소나무, 곰솔
아까시잎혹파리 - 아까시나무
소나무왕진딧물 - 소나무, 곰솔
뽕나무이, 큰팽나무이 - 뽕나무
솔잎혹파리 - 소나무
검은베네줄면충 - 느릅나무

<협식성 해충 암기하기>
(암기법 : 협솔소-광애노-물방패-벚쥐왕)
나방류 - 솔나방나무좀류 - 소나무좀, 광릉긴나무좀, 애소나무좀, 노랑애소나무좀방패벌레류 - 물푸레방패벌레 등.깍지벌레류 - 벚나무깍지벌레, 쥐똥밀깍지벌레, 왕공깍지벌레

<광식성 해충 암기하기>
(암기법 : 광미흰-점차-매독천거전-오알왕이-뽕가)
나방류 - 미국흰불나방, 매미나방, 독나방, 천막벌레나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진딧물류 - 목화진딧물, 조팝나무진딧물, 복숭아진딧물, 붉나무소리진딧물
깍지벌레류 - 뿔밀, 거북밀, 뽕나무, 식나무, 가루, 이세리아깍지벌레
응애류 - 전나무잎응애, 점박이응애, 차응애
천공성해충류 - 오리나무좀, 알락하늘소, 왕바구미, 가문비왕나무좀, 붉은목나무좀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