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다음 수목병 진단 결과에서 ( ) 안에 알맞은 것은?
- 6~7월경 모과나무 잎에 노란색과 갈색반점이 나타나며 잎의 뒷면 반점 부위에 회갈색 긴 털 모양인 (㉠)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 이것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노란색 둥근 (㉡)가 다수 보인다
㉠ ㉡
① 녹포자기 녹포자
② 녹포자기 녹병정자
③ 녹병정자기 녹포자
④ 녹병정자기 녹병정자
⑤ 겨울포자퇴 겨울포자
정답 : 1
해설 :
이 문제는 아쉽게 틀리신 분들이 꽤 있어 보이는 문제입니다. ㉠에 해당하는 부분을 녹병정자기라고 생각하신 분들이 계실 텐데요. 녹병정자기는 표피조직 밑에 형성되는 것이고, 그 안에서 형성된 녹병정자가 다른 녹병정자기로 옮겨져서 털모양의 녹포자기를 형성합니다. 녹포자기 안에서 녹포자를 생성.
<향나무 녹병의 장미과 식물에서 병환>
- 4~5월에 비가 오면 향나무의 잎과 줄기에서 겨울포자퇴가 혓바닥 모양의 담갈색 돌기로 한천처럼 부푼다.
- 겨울포자는 발아하여 담자포자를 형성
- 담자포자는 장미과 식물의 잎으로 날아가 침입.
- 6~7월 장미과 식물 잎과 열매에 노란색 반점이 나타남. 잎의 뒷면에 녹병정자기가 표피조직 밑에 형성되며, 긴털모양의 녹포자기 형성)
- 잎이 뒷면에는 회색 내지 담갈색의 녹포자퇴 만들어짐. (녹포자기 안에서 녹포자 형성)
- 녹포자는 향나무로 비산 되어 침입함.
12. 옥신의 양이 증가되어 이상비대 증상을 일으키는 병이 아닌 것은?
① 철쭉 떡병
② 소나무 혹병
③ 향나무 녹병
④ 감나무 뿌리혹병
⑤ 대추나무 빗자루병
정답 : 5
해설 :
① 철쭉 떡병 (곰팡이 - 담자균)
② 소나무 혹병 (녹병)
③ 향나무 녹병 (녹병)
④ 감나무 뿌리혹병 (세균)
⑤대추나무 빗자루병(파이토플라스마는 혹을 일으키지 않음)
*우선 혹을 일으킬 수 있는 병해 : 곰팡이, 바이러스, 세균, 선충, 녹병, 기생식물
13. 다음 특징을 나타내는 뿌리병은?
- 병원체보다 기주가 병 발생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 침엽수와 활엽수에 모두 발생한다.
- 병원체의 영양생장기관에는 유연공격벽이 존재한다.
① 뿌리혹선충병
② 흰날개무늬병
③ 리지나뿌리썩음병
④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
⑤ 파이토프토라뿌리썩음병
정답 : 4
해설 :
1. 병원균 우점병 (암기법 : 파리, 모기) 파리모기는 매우 더러우므로 병원균 우점으로 암기
1) 모잘록병
2) 파이토프토라뿌리썩음병
3) 리지나뿌리썩음병
2. 기주 우점병
1)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
2) 안노섬뿌리썩음병
3) 자주날개무늬병
-------------------------------------
1)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
- 기주우점병해.
- 침엽수와 활엽수 모두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산림병해 중 하나.
- 북아메리카에서 병원성이 강한 A. solidipes에 의한 산림의 생산량 감소가 크다.
- 국내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아밀라리아뿌리썩음병도 A. solidipes 종에 의한 잣나무림 피해가 크다.
[병원균과 기주]
- 담자균문 주름버섯목에 속하는 Armillaria 균으로 기주범위가 광범위하다. (담자균류는 유연공격벽, 꺽쇠연결체 형성)
- 목본류뿐만 아니라 딸기, 감자를 포함한 초본식물에도 병을 발생시킴.
- 수목의 연령과 상관없이 피해를 주나 임분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표징]
- 뿌리꼴균사다발, 부채꼴균사판, 뽕나무버섯
[병환]
- 아밀라리아균은 죽은 나무뿌리에서 수년간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병을 일으킬 수 있다.
- 자연림보다는 조림지에서 더 큰 피해를 준다.
- 뿌리를 따라 감염되거나 뿌리꼴균사다발이 토양을 통해 자라면서 건강한 나무를 감염시킨다.
- 뽕나무버섯에서 생산된 담자포자에 의해 감염되는 경우도 알려져 있다.
[방제법]
- 저항성 수종 식재, 그루터기 제거, 수분관리, 간벌, 비배관리, 해충방제 등.
14. 목재부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연부후 피해 목재는 마르면 할렬이 나타난다.
② 일부 진균과 방선균은 목재부후균 생장 억제 효과가 있다.
③ 감염부위에 따라 뿌리, 뿌리ㆍ밑동, 줄기ㆍ가지 썩음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④ 아까시흰구멍버섯은 갈색부후균으로 심재를 먼저 분해하고 변재를 분해한다.
⑤ 음파, 전기저항 특성 등을 이용해 수목 내부 부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정답 : 4
해설 :
① 연부후 피해 목재는 마르면 할렬이 나타난다.
- 목재가 함수율이 높은 상태에서 발생(다습토양 접촉, 오랫동안 수침, 바닷물침지 고목재 등)
- 표면이 연해지고 암갈색으로 변색, 내부는 건전상태
- 피해목재 건조, 내부 목재는 건전상태로 "할렬(crack)" 발생
② 일부 진균과 방선균은 목재부후균 생장 억제 효과가 있다.
- 목재부후균에 길항작용을 지닌 방선균, 세균, 진균 등의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나 수목에서 유래한 억제물질을 사용하는 친환경적 방제 연구 중.
③ 감염부위에 따라 뿌리, 뿌리ㆍ밑동, 줄기ㆍ가지 썩음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뿌리썩음 / 뿌리 및 그루터기 썩음 / 쥴기썩음
④ 아까시흰구멍버섯은갈색부후균으로심재를 먼저 분해하고 변재를 분해한다.
아까시흰구멍버섯은 심재가 먼저 썩고, 변재가 나중에 썩는 줄기밑둥썩음병이다.
⑤ 음파, 전기저항 특성 등을 이용해 수목 내부 부후 정도를 . 측정할 수 있다
<목재부후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탐색방법>
- 파괴적 방법(생장추), 비파괴적 방법으로 나뉨.
- 비파괴적 방법 : 육안에 의한 부후검사, (최근) 이온조사 컴퓨터 단층촬영, 열, 전자파, 초음파 핵자기공명, 중성자, 화상기법 등의 방법
- 실험실적 방법 : 목재의 일부를 채취하여 조직을 2중 염색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검경 → 분해된 세포벽의 색을 차별화시킴으로 부후를 탐색하는 방법.
- 형광염색법 : 목재부후균 균사의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형광을 이용한 방법(형광현미경으로 관찰)
- 면역탐색법 : 부후균의 대사물질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탐색.
- 분자생물학적 탐색 :부후균에 종 특이적인 프라이머와 PCR를 사용하여 탐색.
15. <보기>의 수목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속(genus)이 같은 것은?
<보기>
ㄱ. 감귤 궤양병.
ㄴ. 배나무 뿌리혹병.
ㄷ. 사과나무 화상병.
ㄹ. 포도나무 피어스병.
ㅁ. 살구나무 세균구멍병.
① ㄱ, ㄷ
② ㄱ, ㅁ
③ ㄴ, ㅁ
④ ㄴ, ㄹ
⑤ ㄷ, ㄹ
정답 : 2
해설 :
ㄱ. 감귤 궤양병. (Xanthomonas axonopodis)
ㄴ. 배나무 뿌리혹병 (Agrobackterium tumefaciens)
ㄷ. 사과나무 화상병 (Erwinia amylovora)
ㄹ. 포도나무 피어스병 (Xylella fastidiosa)
ㅁ. 살구나무 세균구멍병. (Xanthomonas arborico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