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다음 버섯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말(발)굽잔나비버섯 (Fomitopsis officinalis)
㉡ 말똥진흙버섯 (Phellinus igniarius)
① 과㉠ 은 모두 ㉡ 목재부후균이다.
② 은㉠ 주로 침엽수를 , 은㉡ 주로 활엽수를 감염한다.
③ ㉡의 피해가 심해지면 목질부가 스펀지처럼 쉽게 부서진다.
④ ㉠의 피해를 심하게 받은 목질부는 네모 모양으로 금이 가면서 쪼개진다
⑤ ㉠은 리그닌을 완전히 분해하지만, ㉡은 리그닌을 거의 분해하지 못한다.
정답 : 5
해설 :
<목재부후균 정리>
부후명칭 | 일반명 | 부후내용 | 기주 | 부후특징 |
Fomitopsis officinalis | 말(발)굽잔나비버섯 | 변재, 심재 | 침엽수 | 갈색부후 |
Phellinus igniarius | (말똥)진흙버섯 | 변재, 심재 | 활엽수 | 백색부후 |
⑤ ㉠은리그닌을 완전히 분해하지만, ㉡은리그닌을 거의 분해하지 못한다.
㉠ 갈색부후는 리그닌이 남고(분해하지 못함), ㉡ 백색부후는 리그닌이 남지 않음(분해함)
* 갈색부후 암기법 : "갈담리 벽침" - 갈색부후, 담자균류, 리그닌 남음, 벽돌모양으로 부서짐, 침엽수에 주로 발생 - 조개껍질버섯, 치마버섯, 간버섯, 표고버섯, 영지버섯, 느타리버섯, 잎새버섯, 말굽버섯 등
* 백색부후 암기법 : "백담스펀지활" - 백색부후, 담자균류, 스펀지처럼 부서짐, 활엽수에 주로 발생
7. 밤나무에 발생하는 줄기마름병(㉠)과 가지마름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균보다 ㉡균의 기주범위가 훨씬 넓다.
② ㉠균과 ㉡균 모두 감염부위에 자낭각을 만든다.
③ ㉠균은 감염부위에 분생포자각을 만들지만 ㉡균은 분생포자반을 만든다.
④ ㉠균과 ㉡균 모두 밤나무 가지와 줄기를 감염하지만 병원균 속(genus)은 다르다.
⑤ ㉠과 ㉡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밤나무의 비배와 배수 관리에 유의하여야 한다.
정답 : 3
해설 :
③ ㉠균은 감염부위에 분생포자각을 만들지만 ㉡균은
구분 밤나무 줄기마름병 밤나무 가지마름병 ① 기주범위 밤나무 다범성병해
(과수와 유실수 포함한 각종 수목)② 병원체(구조체) 자낭각 자낭각 ③ 병든부위 분생포자각 분생포자각 ④ 병원균 속(genus) Cryphonectria parasitica Botryosphaeria dothidea ⑤ 방제 비배, 배수, 질소질비료 과용금지, 동해방지(백색페인트), 천공성해충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해야 함, 저항성품종 식재, 저병원성 균주 연구 비배, 배수, 감염가지 소각, 적절한 가지치기, 접목 시에 칼을 수시로 소독, 아까시나무 주요 전염원이므로 제거. 분생포자반을 만든다. 분생포자각
8. 병든 가지를 접수로 사용하였을 때 접목부를 통하여 전염되는 병이 아닌 것은?
① 벚나무 번개무늬병
② 오동나무 빗자루병
③ 쥐똥나무 빗자루병
④ 포플러류 갈색무늬병
⑤ 포플러류 모자이크병
정답 : 4
해설 :
파이토플라스마와 바이러스는 병든 가지를 접수로 사용하였을 때 전염이 되므로 무병주에서 채취를 해야 함.
① 벚나무 번개무늬병 (바이러스)
② 오동나무 빗자루병 (파이토플라스마)
③ 쥐똥나무 빗자루병 (파이토플라스마)
④포플러류 갈색무늬병(점무늬병 - Cercospora 점무늬병)
⑤ 포플러류 모자이크병 (바이러스)
9. 전염경로를 차단하여 수목병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꽃사과나무 근처에 향나무를 심지 않는다.
② 소나무재선충 감염목은 발견 즉시 제거하여 소각한다.
③ 포플러류 조림지 근처에는 일본잎갈나무를 심지 않는다.
④ 장미 모자이크병 예방을 위하여 감염된 낙엽을 그러모아 태운다.
⑤ 유관속 감염균이 우려되는 나무는 전정할 때 전정도구를 에틸알코올로 70% 자주 소독한다.
정답 : 4
해설 :
④ 장미 모자이크병 예방을 위하여감염된낙엽을 그러모아 태운다. (낙엽을 그러모아 태우는 것은 전염성 병원균 제거의 목적이 있음)
[장미모자이크병 방제법]
1) 바이러스 감염되지 않은 대목과 접수를 사용해서 건전 묘목을 육성.
2)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보증 묘목을 식재.
3) 많은 잎에 모자이크 병징이 나타난 나무는 제거.
4) 바이러스에 감염된 어린 대목을 38도씨에서 약 4주간 열처리 하면 바이러스가 불활성화된다.
10. 식물병원체 중 세포벽을 가지고 있는 원핵생물의 생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주로 상처나 자연개구를 통하여 기주식물로 침입한다.
② 화상병균은 토양 속에서 기주식물이 없으면 수가 급격히 감소한다.
③ 기주식물 밖에서도 살 수 있지만, 대부분 기주식물 안에서 기생한다.
④ 매개충에 의해 전반 되는 것은 많으나, 매개충 체내에서 증식하는 것은 없다.
⑤ 뿌리혹병균(Agrobacterium tumefaciens)은 기주식물이 없어도 토양 속에서 오랫동안 살 수 있다.
정답 : 4
해설 :
④ 매개충에 의해 전반 되는 것은 많으나, 매개충체내에서 증식하는 것은 없다. 원핵생물은 매개충의 체내에서 증식하고 다른 숙주에게 전반됨
[참고] 원핵생물계 중 세포벽이 없는 파이토플라스마의 경우에도 매개곤충의 구침을 통해 곤충체 내로 들어가 침샘, 소화기관, 말피기씨관, 헤모림프, 지방체 등에서 증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