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KILLER

반응형

토양 중에서의 열전달
토양 중에서의 열전달

토양 중에서의 열전달

* 열전도도 : 두께가 1cm인 어떤 물질의 양면에 1도씨의 온도차를 두었을 때 이 물질 1 cm²의 넓이를 통하여 1초 동안에 통과하는 열량.

구분 열전도도
토양광물(모래, 미사, 점토 등) 0.001 ~ 0.009
유기물 0.0003
0.0013 ~ 0.0014
공기 0.00005

- 열전도도가 높은 순서 :  물 > 부식 > 공기

- 토양의 열전도도는 토양입자의 지름이 클수록 높다. (사토 > 양토 > 식토 > 이탄토)

- 습윤한 토양 > 건조한 토양 (물의 열전도도가 높기 때문)

- massive형태의 토양 > 입단 및 괴상 구조가 발달한 토양.

- 고상과 고상 사이의 열의 전달 > 공극을 통한 열의 전달

 

[토양의 색깔도 토양온도에 영향을 준다.]

- 지표의 색깔이 짙을수록 태양열을 많이 흡수 (백색은 반사량이 많아 토양온도가 많이 오르지 않음)

- 흑색 > 남색 > 적색 > 황색 > 백색

- 태양광선이 지면에 수직으로 투과할 때 온도가 높다.

- (국내) 동서방향의 이랑보다 남북방향의 이랑에서 수광량이 많음. (겨울철은 동서방향에서 수광량이 많음)

 

[토양온도의 조절]

- 토양온도 35도씨까지 도달함에 따라 생육은 증가함을 보이고, 그 이상이 되면 생육이 감소함.

- 토양의 온도를 유지하는 방법 : 토양색을 이용하여 온도를 조절, 완숙유기물을 사용하여 태양광선의 흡수를 증가시켜서 토양온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비닐 등과 같은 흰색 또는 투명한 멀칭을 하면 태양복사열을 반사하여 토양온도가 낮아짐.

 

 

참고서적 : 토양학 (향문사)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