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KILLER

반응형

유각균류에 의한 병
유각균류에 의한 병

유각균류에 의한 병

Marssonina류 및 Entomosporium류에 의한 병

- Marssonina 속은 약 70종이 알려짐, 모두 잎에 점무늬병을 일으킴

- 분생포자반은 표피 아래에 형성된 후 성숙하여 표피를 찢고 나출됨

- 습할 때에는 다량의 분생포자가 흰색의 분생포자 덩이로 분생포자반에 쌓여 흰색 내지 담갈색으로 나타남.

- 육안 또는 돋보기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 분생포자는 무색의 두 세포, 윗세포와 아랫세포가 크기와 모양이 다른 경우가 많음

- Entomosporium속의 곰팡이는 여러 수목류에 점무늬병을 일으킴.

- 속명이 Entomo(곤충)+sporium(포자)의 합성어. (분생포자는 곤충모양)

 

가. 포플러류 점무늬잎떨림병(낙엽병)

- 이태리계 개량포플러는 감수성, 은백양과 일본사시나무 등은 저항성

- 조기낙엽을 일으키므로 피해가 크다.

[병원균] Drepanopeziza brunnea

[병징 및 병환]

- 6월 하순부터 발생하여 장마철 심해짐.

- 주로 수관의 아랫잎에서 시작되어 위쪽으로 진전됨.

- 심하면 8월 초부터 낙엽 지기 시작하며 8월 하순에는 가지 끝의 어린잎만 앙상하게 남아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 잎자루와 잎맥, 어린줄기 등에 병반조직이 괴사 되어 타원형 내지 방추형의 흑갈색을 띤 함몰 부위가 나타남.

- 대부분 병든 잎에서 월동한 분생포자반에 분생포자가 형성되어 1차 전염원이 됨.

[방제법]

- 성목에서는 실질적인 방제대책이 없다.

- 병든 낙엽을 소각하고 수세를 증강.

- 묘포에서는 가을이나 이른 봄에 낙엽을 소각하거나 땅에 묻는다.

- 6월부터 살균제를 2주 간격으로 살포.

 

나. 참나무 갈색둥근무늬병(갈색원성병)

- 전 세계적으로 참나무류에 발생, 피해는 경미함.

- 심한 경우에는 잎이 지저분하게 보이며 일찍 떨어짐.

[병원균] Marssonina martinii (Sacc. & Ellis) Magnus

[병징 및 병환] 

- 둥글고 작은 회갈색 점무늬가 많이 발생함.

- 때론 합쳐져서 불규칙한 모양이 됨

- 건전부위와 병든 부위의 경계가 뚜렷한 적갈색.

-  뒷면에는 분생포자가 밀생 하여 담갈색으로 보임.

- 병든 낙엽에서 월동한 병원균은 이듬해 봄에 분생포자를 형성하여 1차 전염원이 됨.

[방제법]

- 병든 잎을 모아서 태우고, 적절한 가지치기로 통풍을 좋게 함.

 

다. 장미 검은무늬병(흑반병)

- 장미와 Rosa속 식물에서 흔히 발생함.

- 묘목과 성목에서 모두 발생함.

- 장마철 이후에 피해가 심함. (봄비 잦은 해에는 5~6월에도 심하게 발생)

- 지저분한 모습과 조기 낙엽으로 관상가치 하락.

[병원균] Diplocarpon rosae F.A. Wolf (= Marssonina rosae)

[병징 및 병환]

- 잎에 크고 작은 암갈색 내지 흑갈색의 원형 내지 부정형의 병반.

- 점차 병반 주위는 황색으로 변하고 병반 위에 검은 점이 나타남.
- 곤충이나 빗물에 의해서 전염됨. (건조한 상태에서는 공기로 전염됨)

- 병든 잎에서 자낭반의 형태로 월동하고 이듬해 봄에 자낭포자 비산.

[방제법]

- 병든 낙엽 모아서 소각 및 땅속에 묻는다.

- 5월경부터 10일 간격으로 살균제처리.

 

라. 홍가시나무 점무늬병(반점병)

[병원균] Diplocarpon mespili

[병징 및 병환]

- 4월 하순경부터 햇잎과 어린 가지에 발생하기 시작함.(초기에는 붉은색의 작은 점)

- 이후 회갈색 둥근 병반으로 진전됨.

- 병반 가운데는 광택이 나는 까만 딱지 같은 분생포자층이 융기되어 나타남.

- 비를 맞으면 분생포자층의 외피가 갈라 터지면서 담색의 포자덩이가 돌기처럼 올라옴.

[방제법] 

- 병든 식물체 잔재를 제거하여 전염원을 없애야 함.

- 발병 초기에  살균제 살포.

 

마. 채진목 점무늬병(반점병)

[병원균] Diplocarpon mespili

[병징 및 병환]

- 봄비가 잦으면 햇잎과 어린 가지에 점무늬가 생기고 6월 말에 잎의 90% 이상이 떨어짐.

- 7~8월에 꽃이 피고 새로 잎이 나는 비정상적인 상태가 되기도 함

[방제법]

- 병든 식물체 잔재를 제거하여 전염원을 제거

- 묘포에서는 발병 초기에 살균제를 살포.

Pestalotiopsis류에 의한 병

가. 은행나무 잎마름병

- 성목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고 어린나무에서 발생함.

[병원균] Pestalotia ginkgo Hori

[병징 및 병환]

- 고온 건조 날씨로 잎이 데거나, 강풍 및 해충의 식해로 상처가 생긴 부위에 발생함.

- 병반은 잎의 가장자리에서부터 시작되며 경계부는 황록색으로 퇴색됨.

- 잎 앞뒷면의 분생포자반이 검은 점으로 나타남.

- 다습할 때, 분생포자반에서 분생포자가 포자덩이뿔로 분출됨.

[방제법]

- 비배관리 철저

- 병든 납엽 소각 및 땅속에 묻는다.

- 살균제를 살포

 

나. 삼나무 잎마름병

- 통풍이 불량하거나 다습할 때 발병.

- 태풍이나 물리적 상처가 발병을 조장함.

[병원균] Pestalotiopsis glandicola

[병징 및 병환]

- 잎과 어린줄기에 갈색~적갈색의 병반 생기고, 점차 회백색으로 변함.

- 이후 병든 부위에 작고 검은 점(가운데가 찢어진 방추형 분생포자반)이 생김.

- 습할 때, 분생포자가 뿔 모양으로 분출함.

[방제법]

- 적절한 배식, 가지치기로 통풍을 원활하게 함.

- 병든 가지를 제거

- 묘포에서는 묘목이 상처가 나지 않도록 함.

- 태풍이 지난 후에는 살균제를 예방 위주로 살포.

 

다. 철쭉류 잎마름병

- 진달래, 참꽃나무, 철쭉, 산철쭉 등

[병원균] Pestalotiopsis spp.

[병징 및 병환]

- 병든 잎은 흔히 갈변되고 쉽게 떨어짐.

- 병반은 옅은 겹둥근 무늬가 형성되고, 작고 검은 점(분생포자반)이 동심원상으로 형성됨.

- 습할 때에는 분생포자반에서 분생포자 덩이가 형성됨.

[방제법]

- 화단에 심은 경우, 가을과 이른 봄에 병든 잎을 모아 태우거나 땅속에 묻는다.

- 장마철 직전과 가을비가 온 후에 살균제 처리

 

라. 동백나무 겹둥근무늬병

[병원균] Pestalotiopsis guepinii

[병징 및 병환]

- 병반은 겹둥근 무늬를 나타냄. (차츰 회색의 띠 모양으로 변함)

- 병반의 표면에는 검은 돌기(분생포자반)가 나타나고, 습할 때에는 분생포자반에서 포자덩이뿔이 형성.

[방제법]

- 병든 잎은 모아서 태우거나 땅속에 묻는다.

- 상습발병지에서는 고온기에 살균제를 예방 위주로 처리함.

Colletotrichum 및 근연 병원균류에 의한 탄저병

가. 오동나무 탄저병

[병원균] Collectotrichum kawakamii (Miyabe) Sawada

[병징 및 병환]

- 처음에는 바늘자국같이 작은 담갈색 점이 생김 (점차 암갈색으로 변하면서 퇴색)

- 대개 잎맥과 잎자루에 심하게 발병함 (잎은 기형, 줄기 병반은 함몰)

- 분생포자반이 있고 여기에 분생포자가 형성됨.

- 습할 때에는 분생포자가 집단으로 쌓여 담갈색의 가루같이 보임

[방제법]

- 실생묘의 양묘에서는 토양소독을 실시.

- 짚 등으로 토양을 피복하여 빗물에 흙이 튀지 않도록 함.

- 발아 후에는 탄저병 약을 10일 간격으로 3~4회 살포.

- 성목에서는 약제방제가 사실상 힘듦, 병든 잎과 가지를 모아서 소각함.

 

나. 동백나무 탄저병

[병원균]  Colletotrichum sp.

[병징 및 병환]

- 잎 가장자리부터 퇴색되면서 적갈색으로 변함. (나중에는 회색을 띰)

- 병반 주위는 넓게 퇴색되고, 병반 앞쪽에는 검은색의 돌기(분생포자반)가 생겨 뚜렷한 겹둥근 무늬가 생김.

- 다습하면 분생포자가 다량 형성되어 점질물이 나타남.

[방제법]

- 병든 잎과 과실을 제거하여 태운다.

- 상습발생지에 예방 위주로 살균제 처리

 

다. 사철나무 탄저병

[병원균] Gloeosporium euonymicola Hemmi

[병징 및 병환]

- 회백색의 병반이 확대됨에 따라 병반의 바깥쪽은 짙은 갈색의 경계띠가 형성되고, 안쪽은 회백색이 되면 드문드문 검은 돌기가 형성됨.

- 분생포자경 위에 분생포자가 밀생하고 사이사이에 강모가 있다.

[방제법]

- 거름주기와 가지치기 등의 관리 철저

- 상습발생지에서는 병든 잎을 모아 소각한다. 

- 6월경부터 살균제 처리

 

라. 호두나무 탄저병

[병원균] Ophiognomonia leptostyla

[병징 및 병환]

- 병환부는 검게 변하고 움푹 들어가면서 어린줄기째 말라죽음

- 잎자루와 잎맥에 흑갈색 병반이 형성되면 잎은 기형으로 변함.

- 습할 때에는 병반 위에 담황색의 분생포자 덩이가 형성됨.

- 주로 빗물에 의해 인근의 건전한 잎으로 전염됨

[방제법]

- 이른 봄에 병든 줄기를 잘라 태운다.

- 습한 시기에 살균제 처리.

- 묘포에서는 정기적인 약제를 살포.

 

마. 개암나무 탄저병

- 묘목부터 성목까지 흔히 발생함.

[병원균] 

- Piggotia coryli, Monostichella coryli

[병징 및 병환]

- 병반에는 회갈색의 띠가 연이어 나타나고 분생포자반이 형성. (겹둥근 무늬를 형성)

- 병든 잎은 조기 낙엽되지 않으나 병든 부위는 쉽게 부서진다.

- 열매에도 갈색의 점무늬가 나타남.

- 병든 낙엽에서 분생포자반으로 월동하고, 이듬해 봄에 1차 전염원이 된다.

[방제법]

- 재배단지에서는 병든 낙엽을 모아서 태운다.

- 발병초기부터 9월까지 발병추이를 보면서 살균제 살포.

 

바. 버즘나무 탄저병

[병원균] Apiognomonia veneta (Sacc. & Speg.)

[병징 및 병환]

- 초봄에 발생하면 어린싹이 까맣게 말라죽고, 잎이 전개된 후에 발생하면 잎맥을 중심으로 번개 모양의 갈색 반점이 형성되며 조기 낙엽을 일으킴.

- 잎맥과 주변에는 무수히 많은 점(분생포자반)이 나타남.

- 우리나라에서는 유성세대는 발견되지 않음.

[방제법]

- 병든 낙엽 소각 및 땅에 묻는다.

- 상습발생지에서는 예방위주로 살균제 처리한다.

 

 

참고서적 : 신고 수목병리학 (향문사)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