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제시된 생태적 특징을 지닌 해충으로 옳은 것은? -장미과 수목의 잎을 가해한다. -연 1회 발생하며 유충으로 월동한다. -유충의 몸에는 검고 가는 털이 있다. -유충의 몸은 연노란색이고 검은 세로줄이 여러 개 있다. ① 노랑쐐기나방 ② 복숭아명나방 ③ 황다리독나방 ④ 노랑털알락나방 ⑤ 벚나무모시나방
정답: ⑤
해설:
① 노랑쐐기나방 - 유충은 잎뒷면 식해, 연 1회 발생, 유충월동, 몸색은 황색, 몸 표면에 자모가 있음. 외연에 흑갈색 사선 존재함 (주로 단풍나무, 밤나무, 버드나무, 포플러, 유자나무, 장미, 찔레, 해당화 , 벚나무, 매실나무, 복사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차나무, 배롱나무, 석류, 감나무 식해) 출처 (산림청) - 노랑쐐기나방 ② 복숭아명나방 - 소나무류 중 잣나무 구과피해, 연 2~3회 발생, 중령유충으로 월동, 유충의 머리는 흑갈색 몸은 도색바탕에 갈색점 있음, 성충은 등황색, 주로 밤나무와 그외 과실에 피해 출처(산림청) - 복숭아명나방 ③ 황다리독나방 - 층층나무 피해, 연1회 발생하며 난괴형태로 월동, 1령유충은 짙은 갈색, 2령유충은 담갈색, 4~5령유충은 흑색, 성충은 기부가 백색털로 덮여있음 출처(산림청) - 황다리독나방 ④ 노랑털알락나방 - 사철나무에서 피해 심, 연 1회 발생하며 가지 위에서 난으로 월동, 노숙유충의 몸색은 담황색이며 여러 개의 흑갈색 종선이 있음, 미세한 털이 존재함 출처(산림청) - 노랑털알락나방 ⑤ 벚나무모시나방 - 유충이 장미과 식물의 잎을 가해, 연1회 발생하며 유충으로 월동, 유충의 몸색은 담황색, 배선-측선-기문상선의 세로줄이 검고 가늘게 존재함, 몸에 검은색 털 있음 출처(산림청) - 벚나무모시나방
지문에 원산지라는 표현이 참으로 생소합니다. 원산지라고 적어놓으면 어느 나라에서 한국으로 들어왔는지를 찾으라는 지문인지? 진짜 해당 해충의 발생지를 찾으라는 것인지? 출제자분들은 수험자들이 정확히 이해할 수 있는 문구를 사용해야 합니다. 평소처럼 '발견연도'로 내던지, '유입국가'로 내던지 또는 '분포'로 문제를 내던지 해야 할 것 같네요.
43. 벚나무류 해충의 가해 및 피해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사키잎혹진딧물 : 잎이 뒷면으로 말리고 붉게 변한다. ② 뽕나무깍지벌레 : 가지, 줄기에 집단으로 모여 흡즙한다. ③ 갈색날개매미충 : 1년생 가지에 산란하면서 상처를 유발한다. ④ 남방차주머니나방 : 유충이 잎맥 사이를 가해하여 구멍을 뚫는다. ⑤ 복숭아유리나방 : 유충이 수피를 뚫고 들어가 형성층 부위를 가해한다.
정답: ①
해설:
① 사사키잎혹진딧물 : 잎이 뒷면으로 말리고 붉게 변한다. (잎 표면에 잎맥을 따라 주머니 모양의 벌레혹 형성, 벌레혹은 황백색이나 성숙하면서 황녹색~홍색) 출처(산림청) - 사사키잎혹진딧물
44. 해충별 과명, 가해 부위 및 연 발생 세대 수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① 외줄면충: 진딧물과 - 잎 - 수회 ② 솔잎혹파리: 혹파리과 - 잎 - 1회 ③ 소나무왕진딧물: 진딧물과 - 가지 - 3~4회 ④ 루비깍지벌레: 깍지벌레과 - 줄기, 가지, 잎 - 1회 ⑤ 뿔밀깍지벌레: 밀깍지벌레과 - 가지, 잎 - 1회
정답: ④
해설:
④ 루비깍지벌레: 깍지벌레과 - 줄기, 가지, 잎 - 1회 (새 가지에 기생하여 흡즙 가해) 출처(산림청) - 루비깍지벌레
45. 제시된 해충의 생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소나무류를 가해한다. -학명은 Tomicus piniperda이다. ① 성충으로 지제부 부근에서 월동한다. ② 연 1회 발생하며 월동한 성충이 봄에 산란한다. ③ 신성충은 여름에 새 가지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 가해한다. ④ 쇠약한 나무에서 내는 물질이 카이로몬 역할을 하여 월동한 성충이 유인된다. ⑤ 봄에 수컷 성충이 먼저 줄기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면 암컷이 따라 들어가 교미한다.
정답: ⑤
해설:
⑤ 봄에 수컷 성충이 먼저 줄기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면 암컷이 따라 들어가 교미한다. (암컷 성충이 수피를 뚫고 들어가면 수컷이 따라 들어가 교미한다.) 출처(산림청) - 소나무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