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일라이트(illite) [2:1 비팽창형] ② 클로라이트(chlorite) [2:1:1 대표적인 혼층형 광물로 비팽창형] ③ 카올리나이트(kaolinite) [1:1 비팽창형] ④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1:1 비팽창형] ⑤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2:1 팽창형]
[양이온교환용량(CEC)을 증가하는 요인] - 입자의 크기를 작게 해주면 CEC 증가 (사토 < 양토 < 식양토) - PH가 높을 때 CEC 높다. (유기물을 사용하여 PH를 높여주면 증가한다.) - 유기물함량이 많을 때 높다. 유기물을 사용하여 토성개량 or 광물질 투입하면 증가한다. - 점토함량이 높을 때 높다. (무기교질물 < 유기교질물 -> CEC 증가)
80. 한국의 산림토양 특성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토양형으로 생산력을 예측할 수 있다. ② 가장 널리 분포하는 토양은 암적색 산림토양이다. ③ 토양의 분류 체계는 토양군, 토양아군, 토양형 순이다. ④ 주로 모래 함량이 많은 사양토이며 산성토양이다. ⑤ 수분 상태는 건조, 약건, 적윤, 약습, 습으로 구분한다.
정답: ② 해설:
② 가장 널리 분포하는 토양은 암적색 산림토양이다. [습윤한 온대(A,B,C층을 가짐) - 한국 대부분의 산림토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