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KILLER

반응형

[해설] 제9회 수목병리학 문제풀이 (A형) 16~20
[해설] 제9회 수목병리학 문제풀이 (A형) 16~20

16. 회색고약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병원균은 깍지벌레 분비물을 영양원으로 이용한다.
② 두꺼운 회색 균사층이 가지와 줄기표면을 덮는다.
③ 병원균은 외부기생으로 수피에서 영양분을 취하지 않는다.
④ 병원균은 Septobasidium spp. 로 담자포자를 형성한다.
⑤ 줄기 또는 가지 표면의 균사층을 들어내면 깍지벌레가 자주 발견된다.

정답:③
해설:

회색고약병 정리자료 보기

③ 병원균은 외부기생으로 수피에서 영양분을 취하지 않는다.
   발생초기에는 깍지벌레의 분비물에 의존하지만, 후기로 접어들면 침입균사를 만들어서 수피에서 영양분을 흡수함

<회색고약병 요약>

1. 병원균 - Septobasidium bogoriense, S.tanakae (갈색고약병) (basidium은 담자균류)
2. 기주 -
   1) (회색)고약병 : 매실나무, 느티나무
   2) 갈색고약병 : 매실나무, 벚나무, 밤나무, 사철나무 등
3. 병징.표징
- 가지, 줄기에 회백색~회색의 부드럽고 두툼한 균사층
- 발생초기 : 균사층 원형~타원형 위.아래로 번져나감.
- 6~7월 : 균사층의 표면에 흰 가루모양 담자포자 발생
- 발생특성 : 그늘지고 통풍이 불량한 곳에 주로 발생
4. 피해 - 가지고사, 나무쇠약, 심하면 고사
5. 병환- 깍지벌레와 공생
(초기) 깍지벌레로부터, (후기) 균사로 수피의 영양분 흡수
* 담자포자는 바람에 날려 깍지벌레의 분비물에서 생장
6. 방제법
- 겨울철에 석회황합제 살포 (깍지벌레 방제)
- 균사층 제거 후 도포제 처리, 병든 가지 제거, 철솔로 균사층 문질러서 제거
- 통풍과 채광에 유의

17. 편백.화백 가지마름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병반 조직 수피 아래에 분생포자층을 형성한다.
② 감염된 가지와 줄기의 수피가 세로로 갈라진다.
③ 분생포자는 방추형이며 세포 6개로 나뉘어 있다.
④ 감염 부위에서 누출된 수지가 굳어 적색으로 변한다.
⑤ 병원균은 Seiridium unicorne(=Monochaetia unicornis)이다.

정답: ④
해설:

편백화백 가지마름병 정리자료 보기

① 병반 조직 수피 아래에 분생포자층을 형성한다.
      [ 참고 : https://codekiller.tistory.com/1130]
② 감염된 가지와 줄기의 수피가 세로로 갈라진다. [세로로 터지거나 갈라짐]
③ 분생포자는 방추형이며 세포 6개로 나뉘어 있다. [O]
④ 감염 부위에서 누출된 수지가 굳어 적색으로 변한다.
피해 가지가 적색 혹은 적갈색으로 말라죽고, 가지와 줄기는 수피가 세로로 찢어지면서 흰색으로 굳은 흔적이 발견되는 병임.
⑤ 병원균은 Seiridium unicorne(=Monochaetia unicornis)이다. [O]

18. 회화나무 녹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병원균은 Uromyces truncicola이다.
② 줄기와 가지에 방추형 혹이 생기고 수피가 갈라진다.
③ 병든 낙엽과 가지 또는 줄기의 혹에서 겨울포자로 월동한다.
④ 잎 아랫면에 황갈색 가루덩이가 생긴 후 흑갈색으로 변한다.
⑤ 늦은 봄 수피의 갈라진 틈에 흑갈색 가루덩이(포자퇴)가 나타난다.

정답:
해설:

회화나무 녹병 정리자료 보기

늦은 봄 수피의 갈라진 틈에 흑갈색 가루덩이(포자퇴)가 나타난다.
7월 초, 잎 아랫면에 황갈색의 가루덩이(여름포자퇴)가 나타남.
8월 중순, 흑갈색의 가루덩이(겨울포자퇴)가 관찰됨

19. 뿌리혹병(근두암종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목본과 초본 식물에 발생한다.
② 토양에서 부생적으로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다.
③ 한국에서는 1973년 밤나무 묘목에 크게 발생하였다.
④ 병원균은 그람음성세균이며 짧은 막대 모양의 단세포이다.
⑤ 주요 병원균으로는 Agrobacterium tumefaciens, A. radiobacter K84 등이 있다.

정답:
해설:

근두암종병 정리자료 보기

① 목본과 초본 식물에 발생한다. [목본, 초본 피해]
② 토양에서 부생적으로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다. [토양이나 병든 식물체에서 부생적으로 생존함]
③ 한국에서는 1973년 밤나무 묘목에 크게 발생하였다. 
④ 병원균은 그람음성세균이며 짧은 막대 모양의 단세포이다. [암기 : 막호음 (막대형, 호기성, 음성균)]
⑤ 주요 병원균으로는 Agrobacterium tumefaciens, A. radiobacter K84 등이 있다. [길항균 임]

[길항균 정리]
1) Cronartium ribicola(잣나무털녹병) : Tuberculina maxima
2) Rhizoctonia solani(모잘록병) : Trichoderma lignorum (트리코더마 : 중복기생균)
3) Cryphonectria parasitica(밤나무줄기마름병) : dsRNA 감염균주 (저병원성 균주)
4) 목재부후균 : Trichoderma harzianum
5) Helicobasidium annosum(침엽수뿌리썩음병, 그루터기 썩음병) : Phleviopsis gigantea
6) Agrobacterium tumefuciens(뿌리혹병) : A.radiobactor


20. 느릅나무 시들음병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세계 3대 수목병 중 하나이다.
② 매개충은 나무좀으로 알려져 있다.
③ 병원균은 뿌리접목으로 전반 되지 않는다.
④ 방제법으로는 매개충 방제, 감염목 제거 등이 있다.
⑤ 병원균은 자낭균문에 속하며, 학명은 Ophiostoma (novo-) ulmi이다.

정답:
해설:

느릅나무 시들음병 정리자료 보기

③ 병원균은 뿌리접목으로 전반 되지 않는다.  [전반 됨]

[느릅나무 시들음병 : 세계 3대 수목병 ]

1. 병원균 : Ophiostoma novo-ulmi (자낭균류)
   * 매개충 : 유럽느릅나무좀, 미국느릅나무좀, 유럽에서 발생 후 북미로 유입 (느릅나무의 치명적인 피해)
2. 병징, 표징, 병환
   1)  좀류 등이 작은 가지 가해 상처침입, 봄에 감염 (인접나무와 뿌리접목(root graft)에 의해 전파가능)
   2) 형성층, 물관 침입 후 아래로 균사확산 (진전속도 매우 빠름)
   3) 신성충의 표면에 묻어 전파
3. 방제법
   1) 저항성 품종육성
   2) 살균제, 살충제 살포, 매개충 서식처 제거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