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KILLER
[수목생리학] 광합성 기작
나무의사/수목생리학
2022. 12. 14. 23:19
반응형
광합성 기작
광합성의 두 단계
명반응
: (첫 단계) 광합성의 첫 단계로 햇빛이 있을 때에만 엽록체의
그라늄 부분에서
진행.
- 엽록소는 햇빛에너지를 한 군데 모으고,
4군 단백질이 순서대로 작용하여
물분자를 분해
하여
산소를 발생
- NADP를 환원하여 NADPH를 만들고 ATP를 생산
전자전달계
H₂O가 분해되면서 전자가 나와 NADP로 전달되는 과정으로 물은 분해되어 산소(O₂)를 발생
- 순환적 광인산화 (제 1광계) → ATP 생성
- 비순환적 광인산화 (제 2광계) → ATP, NADPH, O₂ 생성
암반응
: 첫 단계에서 만들어진 에너지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환원시켜
탄수화물을 합성.
- 엽록체 내에 엽록소가 없는
스트로마
에서 햇빛이 없어도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 명반응에서 만들어진 ATP와 NADPH가 있을 경우에만 가능.
암반응에 따른 분류
1.
C-3식물군
녹조류를 포함한 지구상의 대부분의 녹색식물
5탄당+이산화탄소 = 3탄당 2개 만들어진다.
RUBP(루비스코 효소) + CO₂
→
3PGA
→ 1,3PGA
→ 3PG
→ RUBP
(캘빈회로)
2. C-4식물군
(암기 : 씨포수수)
3탄당과 이산화탄소가 만나서 4탄당 하나를 생성
열대성 초본류 : 옥수수, 수수, 사탕수수
유관속초 세포가 특별히 발달해 있는 것이 특징.
광합성 효츌이 높음
광포화점이 높음
광호흡을 적게함
높은 온도에서 광합성을 함 (30도씨)
CO₂ 보상점이 낮음 : 낮은 CO₂ 농도에서도 광합성이 가능함.
3. CAM 식물군
선인장의 생존전략 (
사막지대에서 자라는 다육식물 or 염분지대에서 자라는 식물
)
- 돌나물과, 선인장과, 난초과, 나리과, 대극과 등 26개 과에 속하는 식물.
- (나자식물) Welwitschia 속에 한 종
CO₂를 고정하는 과정은 C-4식물군과 동일하나, 낮과 밤에 따라 양상이 달라짐.
야간에 기공을 열고, 이산화탄소를 흡수
주간에 기공을 닫고, 이산화탄소를 포도당으로 바꿈
암반응에 따른 분류 - C-3, C-4 식물군
반응형
공유하기
URL 복사
카카오톡 공유
페이스북 공유
엑스 공유
게시글 관리
구독하기
CODEKILLER
공유하기
'나무의사/수목생리학' 의 관련글
[수목생리학]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기후요인)
2022.12.16
더보기
[수목생리학] 광호흡,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광도)
2022.12.15
더보기
[수목생리학] 광합성
2022.12.11
더보기
[수목생리학] 광합성과 호흡
2022.12.08
더보기
글쓰기
관리자
카테고리
맨위로
티스토리툴바
관리메뉴열기
개인정보
티스토리 홈
포럼
로그인
CODEKILLER
구독하기
닫기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