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포화상태에서의 물의 흐름
<Darcy's law (다르시의 법칙)> 1856년에 프랑스의 배관기술자인 Darcy가 실험을 통하여 유량(Q)은 토주위 단면적과 토주의 수두차에 비례, 토주의 길이(L)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발견. |
2) 포화수리전도도 (=> 물빠짐의 정도를 말한다)
<토양특성과 수리전도도의 관계>
- 토양공극 포화도 : 토양이 불포화상태이면 공극에 있는 기포가 물에 흐름을 방해, 수리전도도가 포화상태 일때보다 작아짐 (포화도가 커질수록, 수리전도도 커짐)
- 토양공극의 크기 : 공극을 통해 이동하는 물의 양은 (공극반지름) 4제곱에 비례
- 토양구조와 공극의 배열상태 : 구조의 발달정도에 따라 K 가 달라짐 (판상 < 입상)
3) 불포화상태에서의 물의 흐름
4) 불포화수리전도도
5) 수증기에 의한 물의 이동
<침투율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1. 토성과 구조 - 자갈, 모래 많은 토양이 높다. 2. 식생 - 지표면을 덮고 있는 식생의 특성에 따라 강수량이 지표면에 도달하는 양이 다르다. 3. 표면봉합과 덮개 - 빗방울이 토양표면에 도달하면 토양입단의 파괴가 시작됨. 분산된 토양입자들이 공극을 막는것을 "표면봉합" ==> 표면봉합은 침투율을 감소시키는 반면, 유거와 침식을 증가 4. 토양의 소수성과 동결 - 유기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토양에서는 토양입자들의 물에 대한 친화력이 낮아 토양 내로 물이 쉽게 침투하지 못함. (토양이 건조할때 잘 나타남), 토양이 동결되었을때 지표면에 도달한 수분은 토양공극 내에서 결빙되므로 더이상 수분의 이동통로로 작용하지 못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