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KILLER

반응형

수목해충의 화학적방제
수목해충의 화학적방제

살충제의 명칭

명 칭 내 용 표 기
시험명
code name
농약 개발을 위한 시험단계에서의 명칭 Bay 41831
화학명
chemical name
유효성분의 화학구조에 따라 IUPAC(국제 순수 및 응용 화학 연합)에서 명칭을 정함 O, O-Dimethyl O-(3-methyl-4-nitrophenyl)phosphorothioate
일반명
common name
농약을 구성하는 유효성분이나 구조 등을 단순화한 것으로 ISO에서 정함 Fenitrothion
품목명
item name
농약을 등록할 때 필요한분류명으로 일반명을 한글로 표기하고 뒤에 제형을 붙임 페니트로티온 유제
상표명
trade name
농약을 상품으로 판매할 때의 명칭으로 농약회사에서 임의로 정하므로 같은 품목명도 다양한 상표명을 가지게 됨 파워벨, 새메프, 스미치온

<살충제 페니트로티온 유제의 다양한 명칭>

 

살충제의 분류

1. 화학성분에 따른 분류

무기살충제와 유기살충제로 나뉘며, 유기살충제는 천연유기살충제와 유기합성살충제로 나뉨.

구분   종류 설명
무기살충제      
유기살충제 천연유기살충제 제충국 추출물 제충국의 피레스린
데리스(Derris) 추출물 다년생식물인 데리스의 로테논
쿠아시아(Quassia) 추출물  
라이아니아(Ryania) 추출물  
님(Neem) 추출물 인도지역 님(neem)종자에서 추출한 아자디락틴.
유기합성살충제 유기염소계 살충제 염소(Cl)를 중심으로 결합된 분자구조.
- 강력한 살충력과 넒은 적용범위, 저렴한 가격.
- 1950~1960년대 많이 사용함. 
- 레이첼 카슨의 저서 [침묵의 밤]에서 문제를 제기. (DDT규제)
유기인계 살충제 인(P)을 중심으로 산소와 황이 결합된 구조
-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의 분해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활성을 저해.
- 곤충의 이상흥분, 소화중독, 접촉독, 호흡독으로 작용.
- 효과가 빠르고, 적용해충범위가 넒고, 살충력이 강함.
- 잔류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특징이 있음.
- 아세페이트, 다이아지논, 펜티온, 클로르피리포스 등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카르밤산을 기본구조로 하는 화합물
-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hE)를 저해하여 신경전달물질 ACh을 축적시켜 살충효과를 냄.
- 유기인계에 비하여 채내에서 빨리 분해되어 독성은 낮음
- 주로 접촉독으로 작용, 속효성, 침투이행성 좋음.
- 식엽성, 흡즙성 해충 모두에 효과적.
- 카바릴, 카보퓨란, 카보설판 등이 생산
- 독성이 강한 메소밀은 등록이 취소.
합성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국화과 제충국에서 추출한 피레스린은 강력한 살충력이 있으나, 불안정하고 빛에 빨리 분해됨. (인공적으로 합성한 살충제)
- 파리나 모기 등의 위생해충과 농업해충에서 살충활성과 속효성이 있음.
- 인축에 대한 독성이 낮다.
- DDT와 유사하게 반복흥분을 유발하는 녹다운 효과.
- 델타메트린, 펜발러레이트, 펜프로파틴, 비펜트린, 아크리나트린 등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담배에서 추출한 니코틴, 노르니코틴, 아나바신 등의 화합물을 니코티노이드라고 함.
- 포유류에 대한 독성이 강함
- 분해가 잘되어 잔효성이 짧음.
- 해충에 대한 침투력이 낮아서 접촉독제로만 이용.
- 아세틸콜린 수용체와 결합하여 신경전달을 저해.
- 접촉 및 소화중독 작용을 일으킴.
- 침투이행성이 강하여 노린재목의 흡즙성 해충방제에 사용.
- 선충과 응애에는 효과가 없음.
- 포유류에는 독성이 낮음
- 이미다클로프리드, 아세타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디노테퓨란, 티아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등.
- 꿀벌의 집단붕괴현상의 원인으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이 직목됨
벤조일페닐우레아계 살충제 곤충이 표피를 구성하는 키틴의 생합성을 저해, 탈피교란하는 곤충생장조절제(IGR)
- 곤충과 표유류에 대한 선택독성이 높음
- 인축에 대한 독성이 낮아 환경오염이 적음.
- 약효의 발현속도가 느림.
- 나비목 유충에 효과적이나 탈피 이후 성충에는 효과 없음.
- 클로르플루아주론, 뷰프로페진(항공방제용) 등.
네레이스톡신계 살충제 바다 갯지렁이에서 추출한 천연 살충물질.
- 곤충 신경계의 시냅스 후막으로의 ACh 전달을 차단
- 곤충의 마비시킴 (치사하기까지 시간이 소요됨)
- 카탑, 벤설탑
마크로라이드계 살충제 아버멕틴은 방선균인 Streptomyces avermitilis에서 분리한 물질.
- 살비, 살충, 살선충 효과가 있음.
- 아바멕틴, 에마멕틴벤조에이트, 밀베멕틴 등

2. 체내 침입경로에 따른 분류

종 류 설 명
소화중독제 입을 통해 소화관 내로 들어가 살충작용을 일으키는 약제.
- 곤충병원성 세균을 이용한 Bt제가 대표적.
- 씹는형 입틀을 가진 딱정벌레목, 메뚜기목의 유충이나 성충, 나비목 유충에 효과적.
접촉제 기공이나 체표면을 통하여 침투된 약제가 살충력을 발휘 또는 기문이나 기관을 막하게 하여 살충.
- 유기염소계, 유기인계, 카바메이트계, 합성 피레스로이드계 등.
- 네이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는 접촉독+소화중독 동시에 가짐.
훈증제 가스형태의 약제가 해충의 기문을 통하여 체내에 침투하여 살충작용 함.
- 토양소독이나 농산물의 저장, 수출입 시의 방역에 주로 이용됨.
- 메틸브로마이드, 포스핀, EDN 등의 약제가 검역을 위한 방역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메틸브로마이드는 독성이 강하고 오존층 파괴물질로 문제가 되고 있음.
- 산림에서는 참나무시들음병과 소나무재선충병에 메탐소듐, 디메틸디설파이드 등의 약제 사용.
침투성 살충제 수목의 뿌리, 잎, 가지, 줄기 등에 약제를 침투시킨 후 수목 전체로 이행시켜 살충.
- 빠는형 입틀을 가진 흡즙성 해충에 효과적.
- 천적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으며, 굴파리류나 혹파리류처럼 식물체 조직을 가해하는 해충에도 효과적.
- 카보퓨란(카바메이트계 살충제), 이미다클로프리드(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유인제 해충을 유인하게 위해 사용되는 약제
- 에탄올(나무좀류 유인), 테르펜, 메틸유게놀 등의 휘발성 물질
- 성페로몬, 집합페로몬 등의 페로몬 등.
- 광릉긴나무좀 : 에탄올과 시트랄이 95:5로 혼합된 경우 유인력이 높음.
기피제 해충을 직접적으로 죽이는 효과는 없음.(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
- 나프탈렌
- 모기, 진드기 기피제로는 시트로넬라 등의 천연유기화합물을 이용
화학불임제 곤충의 생식기에서 난자와 정자의 생성을 억제.
- 돌연변이 또는 염색체 이상을 유발시킴.

3. 작용기작에 따른 분류

1) 신경계에 관여하는 살충작용

종 류 설 명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성 저해 - 시냅스 간의 흥분성 신경전달물질(ACh)은 신경전달이 이루어진 후, ACh수용체에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와 결합하여 콜린과 초산으로 분해되어야 다시 정상적으로 신경전달이 진행되는데,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살충제는 ACh를 분해하지 못하고 과다하게 축적되어 경련과 마비를 일으킴.
축삭 전달 저해 - 축삭에서 신경전달은 활동전위라는 전기적인 충격신호로 전달되는데, 유기염소계나 피레스린계 살충제는 활동전위를 일으키는 Na이온 통로 조절로 유지전위로의 회복이 늦어지면서 과다한 신경자극이 전달되어 경련과 마비가 일어남.
시냅스 후막의 신경전달물질 수용체 저해 - 니코틴이나 유기합성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는 ACh수용체와 친화력이 높아 자극을 과도하게 전달하여 경련과 마비를 일으킴.
- 네레이톡신계 살충제는 니코틴과는 반대로 ACh 수용체에 결합하여 자극의 전달을 차단하여 살충활성이 일어남.

2)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살충작용

두 가지의 저해요소는 아래와 같다.

- 첫번째, 미토콘드리아 내의 전자전달복합체를 저해하는 것. 

- 두번째, ATP합성효소를 저해하는 것

1. 전자절달복합체 저해 : 데리스, 로테논, 메틸브로마이드, 클로로피크린, 인화알루미늄, 포스핀, 인화마그네슘, 사이에노피라펜, 사이플루메토펜, 아세퀴노실
2. 미토콘드리아 ATP합성효소 저해 : 프로파자이트, 테트라디폰, 사이헥사틴.

3) 성장 조절에 관여하는 살충작용

  • 곤충성장조절제 : 키틴합성저해제, 유약호르몬 활성물질, 탈피호르몬 활성물질, 탈피, 변태 저해 등의 호르몬 기능 교란물질.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곤충의 성장과정을 방해)
  • 곤충성장조절제는 포유류에 대한 독성이 낮고 선택성이 높아 약제에 대한 저항성을 갖지 않음.
  • 키틴합성 저해제의 경우 탈피와 변태가 끝난 성충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다.
구 분 설 명
키틴합성 저해제 곤충이 탈피할 때 새로운 외골격을 정상적으로 형성하지 못하도록 함.
- 잣나무별납작잎벌 : 벤조일페닐우레아계 디플루벤주론, 클로르플루아주론 등.
- 솔껍질깍지벌레 : 뷰프로페진(항공방제)
곤충 호르몬 기능 교란물질 - 메토프렌은 최초로 실용화된 유약호르몬 (포유류 독성이 낮음)

 

 

 

참고서적 : 수목해충학 (향문사)

 

나무의사 1차 기출문제 해설 보러가기

 

[목차페이지] 나무의사 기출문제 해설

나무의사 시험은 많은 분량의 이론 공부가 상당히 중요하지만, 기출문제 경향 분석이 되지 않으면 이론공부에 부족함이 없더라도 시험의 당락은 확신할 수 없습니다. 또한 기출문제 경향분석이

codekiller.tistory.com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