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 칭 | 내 용 | 표 기 |
시험명 code name |
농약 개발을 위한 시험단계에서의 명칭 | Bay 41831 |
화학명 chemical name |
유효성분의 화학구조에 따라 IUPAC(국제 순수 및 응용 화학 연합)에서 명칭을 정함 | O, O-Dimethyl O-(3-methyl-4-nitrophenyl)phosphorothioate |
일반명 common name |
농약을 구성하는 유효성분이나 구조 등을 단순화한 것으로 ISO에서 정함 | Fenitrothion |
품목명 item name |
농약을 등록할 때 필요한분류명으로 일반명을 한글로 표기하고 뒤에 제형을 붙임 | 페니트로티온 유제 |
상표명 trade name |
농약을 상품으로 판매할 때의 명칭으로 농약회사에서 임의로 정하므로 같은 품목명도 다양한 상표명을 가지게 됨 | 파워벨, 새메프, 스미치온 |
<살충제 페니트로티온 유제의 다양한 명칭>
무기살충제와 유기살충제로 나뉘며, 유기살충제는 천연유기살충제와 유기합성살충제로 나뉨.
구분 | 종류 | 설명 | |
무기살충제 | |||
유기살충제 | 천연유기살충제 | 제충국 추출물 | 제충국의 피레스린 |
데리스(Derris) 추출물 | 다년생식물인 데리스의 로테논 | ||
쿠아시아(Quassia) 추출물 | |||
라이아니아(Ryania) 추출물 | |||
님(Neem) 추출물 | 인도지역 님(neem)종자에서 추출한 아자디락틴. | ||
유기합성살충제 | 유기염소계 살충제 | 염소(Cl)를 중심으로 결합된 분자구조. - 강력한 살충력과 넒은 적용범위, 저렴한 가격. - 1950~1960년대 많이 사용함. - 레이첼 카슨의 저서 [침묵의 밤]에서 문제를 제기. (DDT규제) |
|
유기인계 살충제 | 인(P)을 중심으로 산소와 황이 결합된 구조 -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의 분해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의 활성을 저해. - 곤충의 이상흥분, 소화중독, 접촉독, 호흡독으로 작용. - 효과가 빠르고, 적용해충범위가 넒고, 살충력이 강함. - 잔류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특징이 있음. - 아세페이트, 다이아지논, 펜티온, 클로르피리포스 등 |
||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 카르밤산을 기본구조로 하는 화합물 -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hE)를 저해하여 신경전달물질 ACh을 축적시켜 살충효과를 냄. - 유기인계에 비하여 채내에서 빨리 분해되어 독성은 낮음 - 주로 접촉독으로 작용, 속효성, 침투이행성 좋음. - 식엽성, 흡즙성 해충 모두에 효과적. - 카바릴, 카보퓨란, 카보설판 등이 생산 - 독성이 강한 메소밀은 등록이 취소. |
||
합성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 국화과 제충국에서 추출한 피레스린은 강력한 살충력이 있으나, 불안정하고 빛에 빨리 분해됨. (인공적으로 합성한 살충제) - 파리나 모기 등의 위생해충과 농업해충에서 살충활성과 속효성이 있음. - 인축에 대한 독성이 낮다. - DDT와 유사하게 반복흥분을 유발하는 녹다운 효과. - 델타메트린, 펜발러레이트, 펜프로파틴, 비펜트린, 아크리나트린 등 |
||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 담배에서 추출한 니코틴, 노르니코틴, 아나바신 등의 화합물을 니코티노이드라고 함. - 포유류에 대한 독성이 강함 - 분해가 잘되어 잔효성이 짧음. - 해충에 대한 침투력이 낮아서 접촉독제로만 이용. - 아세틸콜린 수용체와 결합하여 신경전달을 저해. - 접촉 및 소화중독 작용을 일으킴. - 침투이행성이 강하여 노린재목의 흡즙성 해충방제에 사용. - 선충과 응애에는 효과가 없음. - 포유류에는 독성이 낮음 - 이미다클로프리드, 아세타미프리드, 클로티아니딘, 디노테퓨란, 티아클로프리드, 티아메톡삼 등. - 꿀벌의 집단붕괴현상의 원인으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이 직목됨 |
||
벤조일페닐우레아계 살충제 | 곤충이 표피를 구성하는 키틴의 생합성을 저해, 탈피교란하는 곤충생장조절제(IGR) - 곤충과 표유류에 대한 선택독성이 높음 - 인축에 대한 독성이 낮아 환경오염이 적음. - 약효의 발현속도가 느림. - 나비목 유충에 효과적이나 탈피 이후 성충에는 효과 없음. - 클로르플루아주론, 뷰프로페진(항공방제용) 등. |
||
네레이스톡신계 살충제 | 바다 갯지렁이에서 추출한 천연 살충물질. - 곤충 신경계의 시냅스 후막으로의 ACh 전달을 차단 - 곤충의 마비시킴 (치사하기까지 시간이 소요됨) - 카탑, 벤설탑 |
||
마크로라이드계 살충제 | 아버멕틴은 방선균인 Streptomyces avermitilis에서 분리한 물질. - 살비, 살충, 살선충 효과가 있음. - 아바멕틴, 에마멕틴벤조에이트, 밀베멕틴 등 |
종 류 | 설 명 |
소화중독제 | 입을 통해 소화관 내로 들어가 살충작용을 일으키는 약제. - 곤충병원성 세균을 이용한 Bt제가 대표적. - 씹는형 입틀을 가진 딱정벌레목, 메뚜기목의 유충이나 성충, 나비목 유충에 효과적. |
접촉제 | 기공이나 체표면을 통하여 침투된 약제가 살충력을 발휘 또는 기문이나 기관을 막하게 하여 살충. - 유기염소계, 유기인계, 카바메이트계, 합성 피레스로이드계 등. - 네이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는 접촉독+소화중독 동시에 가짐. |
훈증제 | 가스형태의 약제가 해충의 기문을 통하여 체내에 침투하여 살충작용 함. - 토양소독이나 농산물의 저장, 수출입 시의 방역에 주로 이용됨. - 메틸브로마이드, 포스핀, EDN 등의 약제가 검역을 위한 방역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메틸브로마이드는 독성이 강하고 오존층 파괴물질로 문제가 되고 있음. - 산림에서는 참나무시들음병과 소나무재선충병에 메탐소듐, 디메틸디설파이드 등의 약제 사용. |
침투성 살충제 | 수목의 뿌리, 잎, 가지, 줄기 등에 약제를 침투시킨 후 수목 전체로 이행시켜 살충. - 빠는형 입틀을 가진 흡즙성 해충에 효과적. - 천적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으며, 굴파리류나 혹파리류처럼 식물체 조직을 가해하는 해충에도 효과적. - 카보퓨란(카바메이트계 살충제), 이미다클로프리드(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 |
유인제 | 해충을 유인하게 위해 사용되는 약제 - 에탄올(나무좀류 유인), 테르펜, 메틸유게놀 등의 휘발성 물질 - 성페로몬, 집합페로몬 등의 페로몬 등. - 광릉긴나무좀 : 에탄올과 시트랄이 95:5로 혼합된 경우 유인력이 높음. |
기피제 | 해충을 직접적으로 죽이는 효과는 없음.(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 - 나프탈렌 - 모기, 진드기 기피제로는 시트로넬라 등의 천연유기화합물을 이용 |
화학불임제 | 곤충의 생식기에서 난자와 정자의 생성을 억제. - 돌연변이 또는 염색체 이상을 유발시킴. |
종 류 | 설 명 |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 활성 저해 | - 시냅스 간의 흥분성 신경전달물질(ACh)은 신경전달이 이루어진 후, ACh수용체에서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와 결합하여 콜린과 초산으로 분해되어야 다시 정상적으로 신경전달이 진행되는데, 유기인계와 카바메이트계 살충제는 ACh를 분해하지 못하고 과다하게 축적되어 경련과 마비를 일으킴. |
축삭 전달 저해 | - 축삭에서 신경전달은 활동전위라는 전기적인 충격신호로 전달되는데, 유기염소계나 피레스린계 살충제는 활동전위를 일으키는 Na이온 통로 조절로 유지전위로의 회복이 늦어지면서 과다한 신경자극이 전달되어 경련과 마비가 일어남. |
시냅스 후막의 신경전달물질 수용체 저해 | - 니코틴이나 유기합성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는 ACh수용체와 친화력이 높아 자극을 과도하게 전달하여 경련과 마비를 일으킴. - 네레이톡신계 살충제는 니코틴과는 반대로 ACh 수용체에 결합하여 자극의 전달을 차단하여 살충활성이 일어남. |
두 가지의 저해요소는 아래와 같다.
- 첫번째, 미토콘드리아 내의 전자전달복합체를 저해하는 것.
- 두번째, ATP합성효소를 저해하는 것
1. 전자절달복합체 저해 : 데리스, 로테논, 메틸브로마이드, 클로로피크린, 인화알루미늄, 포스핀, 인화마그네슘, 사이에노피라펜, 사이플루메토펜, 아세퀴노실
2. 미토콘드리아 ATP합성효소 저해 : 프로파자이트, 테트라디폰, 사이헥사틴.
구 분 | 설 명 |
키틴합성 저해제 | 곤충이 탈피할 때 새로운 외골격을 정상적으로 형성하지 못하도록 함. - 잣나무별납작잎벌 : 벤조일페닐우레아계 디플루벤주론, 클로르플루아주론 등. - 솔껍질깍지벌레 : 뷰프로페진(항공방제) |
곤충 호르몬 기능 교란물질 | - 메토프렌은 최초로 실용화된 유약호르몬 (포유류 독성이 낮음) |
참고서적 : 수목해충학 (향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