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KILLER

반응형

줄기에 발생하는 병해
줄기에 발생하는 병해

줄기에 발생하는 병해

<궤양의 발달과정>

1. 병원균이 상처를 통해 침입 후 휴면기 동안 수피를 침입하여 죽인다.

2. 감염된 조직의 가장자리에 유합조직을 형성하여 병원균의 침입을 억제시키려고 노력한다.

3. 병원균은 다음 휴면기간 동안 유합조직을 침입한다.

4. 수목은 새로운 유합조직을 형성한다.

 

<궤양의 세 그룹>

1. 윤문형궤양

- 궤양 표면과 가장자리에 유합조직이 많고 둥근 모양의 궤양

- 궤양 내에 병원균의 이동이 느림

- 수목의 부피생장 증가와 궤양의 생장이 비슷함.

2. 확산형궤양

- 궤양 가장자리에 유합조직이 거의 없고 길쭉한 타원형모양

- 병원균의 이동은 윤문형보다 빠르므로 가장자리의 유합조직이 거의 나타나지 않음.

3. 궤양마름

- 수목의 부피생장보다 더 빠르게 확장

- 감염된 후 몇 년 내에 환상박피가 일어남.

- 둥글거나 타원형의 궤양을 형성하고 생장기간 동안 급속히 발달됨.

- 유합조직이 거의 없거나 거의 나타나지 않음 (병원균이 급속도로 발달함)

1. 밤나무 줄기마름병 (동고병, chestnut blight, Entothia canker)

아시아(일본)에서 1900년경 북아메리카 지역으로 유입됨. 다시 유럽으로 도입되어 황폐화 시킴.

- 일본밤나무와 중국밤나무 등은 저항성, 미국밤나무와 유럽밤나무는 치명적인 피해.

[병원균]

- Cryphonectria parasitica

- 자좌는 수피 밑에 형성되며 수피의 갈라진 틈으로 돌출함

- 돌출된 자좌는 지름 1~2mm, 표면은 황색 내지 황갈색.

- 자좌의 아래쪽에는 플라스크 모양의 자낭각이 다수 형성됨

[병징 및 병환]

- 주로 가지나 줄기에 생긴 상처를 중심으로 병반이 형성됨 (수피가 황갈색 내지 적갈색)

- (건강한 나무) 유합조직이 형성되므로 암종 모양으로 부풀고 점차 길이 방향으로 균열이 생김

- 거칠게 갈라터진 병든 부위의 수피를 떼어내면 황색의 두툼한 균사판이 나타남

- 병든 부위에는 황색 내지 연황색의 분생포자각이 수피를 뚫고 다수 형성됨.

- 병원균은 병든 조직 내에서 균사로 또는 죽은 나무에서 자실체로 월동한 후 이듬해 봄부터 늦가을까지 병든 조직에 형성된 분생포자(주로 빗물이나 곤충에 의해 전반)와 자낭포자(비가 온 후에 공중으로 방출된 후 바람에 의해 전반)에 의해 감염됨.

[방제법]

- 배수가 불량한 장소와 수세가 약한 경우에 피해가 심함

- 시비는 적기에 하며 질소질 비료를 과용하지 말아야 함

- 동해를 막기 위해서 백색페인트를 발라줌

- 박쥐나방 등 천공성 해충의 피해가 없도록 살충제를 살포함

- 저항성 품종(이평, 은기 등)을 식재하고 감수성 품종(옥광 등)의 조림을 피한다.

- 미국과 유럽에서는 저병원성 균주가 발견되어 생물적 방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 

2. 밤나무 잉크병 (chestnut ink disease)

- 뿌리와 수간의 하부에서 잉크처럼 검은색의 액체가 스며 나오는 것에서 유래된 이름. 

- 병원균은 1917년 처음으로 동정됨.

- Phytophthora root rot(파이토프토라뿌리썩음병) 라고도 불림.

- 기주 : 일본밤나무(Castanea crenata), 중국밤나무(C.mollissima), 유럽밤나무(C.stiva), 미국밤나무(C. dentata)

[병원균]

- Phytophthora katsurae

[병징 및 병환]

- 습하고 배수가 불량한 임지에서 병원균의 유주포자가 뿌리 가해. (궤양을 생성함)

- 궤양을 쪼개면 검은색의 액체가 종종 흘러나옴.

- 잎의 크기와 수가 작아지고, 잎이 미성숙 상태에서 쇠락증상이 나타남.

- 밤송이는 성숙되지 않은 채로 가지에 달림.

- 깃(collar) 부위에 검은 괴저증상이 나타남.

- 큰 나무보다 어린나무에서 병 진전속도가 빠름.

- 병원균은 유주포자의 형태로 토양 내에서 수년간 생존할 수 있음.

- 감수성 : 유럽밤나무, 미국밤나무

[방제법]

- 임지에 물이 고이지 않게 배수관리 철저.

- 침투성 살균제의 사용은 경제적, 생태적으로 결점이 많으므로 저항성 대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

3. 밤나무 가지마름병(지고병 : Botryosphaeria canker)

- 다범성 병해.

- 과수와 유실수를 포함한 각종 수목의 줄기와 가지에 발생.

- 과실을 썩히게도 하므로 경제적으로 중요한 병해

[병원균]

- Botryosphaeria dothidea

- 자낭각이 표피 아래 묻혀 있다가 나중에 검은색으로 표피 위로 거칠게 나타남.

- 자낭각은 대체로 구형, 암갈색 또는 검은색으로 목(neck) 부분의 돌기가 표피 밖으로 나옴.

[병징 및 병환]

- 수피가 갈색~검은색으로 변함

- 6~8월에 감염부위에 분생포자각과 자낭각이 형성됨.

- 피해 초기 : 가는 뿌리가 암갈색으로 변하고 굵은 뿌리로 옮겨짐. 피층이 벗겨져 목질부만 남고 검은색으로 변함 (자낭각 형성)

- 열매에 감염되면 흑색썩음병을 일으킴. (특유의 술냄새가 남)

[방제법]

- 감염가지는 잘라서 태우며, 비배 및 배수관리에 유의

- 적절한 가지치기

- 접목 시에는 사용하는 칼을 수시로 소독.

- 아까시나무는 주요 전염원이 되므로 밤나무, 호두나무, 사과나무, 재배지 주변의 아까시나무는 제거한다.

4. 포플러류 줄기마름병(동고병, Cytospora canker)

- 1965년에 이태리포플러 재배단지에서 첫 발견

- 동해, 서리, 건조, 산불 등에 의해 줄기에 상처가 나거나 수세가 약해지면 발생하기 쉬움. (특히 추운 지방에 심함)

- 어린 조림목에 발생하지만, 큰 나무에도 피해가 발생함

[병원균]

- Valsa sordida Nitschke (무성세대 : Cytospora chrysosperma)

- 분생포자각은 수피 밑에 형성되어 돌출됨

[병징 및 병환]

- 수피가 얇은 어린 가지에서는 약간 함몰된 갈색의 병반, 이것이 확대되어 가지를 한 바퀴 돌면 그 윗부분은 말라죽음.

- 굵은 가지에서는 병든 부분에 사마귀 모양으로 약간 돌출된 분생포자각이 형성되어 말라죽음.

- 병든 부위의 수피 밑은 검게 변하고 악취가 남.

[방제법]

- 상처 예방 및 수세의 유지.

- 삽수의 채취나 접목 시에 상처부위에 도포제를 발라주고, 칼은 수시로 소독함.

- 추운 지방에서는 가을식재를 삼가.

- 비교적 내병성 품종인 Populus nigra x maximowiczii, P. euamericana I-214 식재함.

5. 오동나무 줄기마름병 (부란병)

- 상처, 죽은 잔가지 및 얼어터진 상처 등을 통해 병원균이 침입함.

- 추운 지방에서 서리나 동해에 의해 수세가 약해진 나무에서 피해가 심함

[병원균]

- Valsa paulowniae Miyabe & Hemmi (무성세대 : Cytospora paulowniae Miyabe & Hemmi)

- 분생포자각은 5월경부터 성숙함.

- 분생포자는 6~10월 비산하여 장마철에 상처를 통해 침입

- 자낭각은 8~10월에 자낭포자를 방출

[병징 및 병환]

- 피해부위는 건전부위와 뚜렷하게 구분됨 (큰 나무는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음)

- 동심원모양의 다년생 유합조직이 형성됨.

- 수피 표면에 작고 검은 반구형 내지 구형의 분생포자각과 자낭각이 형성

- 줄기에서 병든 부위가 한 바퀴 돌면 말라죽는다.

[방제법]

- 눈이 제거된 부위의 병원균의 침입장소가 되므로 눈따기(적아)를 일찍 실시한다.

- 시비 및 배수관리 철저.

- 동해 및 볕뎀(피소)를 예방하기 위해 백색 페인트를 칠한다.

- 병든 부위에는 도포제를 발라줌.

- 오동나무 단순림을 피하고 혼식(섞어 심기)하면 예방효과가 있음.

 

 

 

 

 

 

참고서적 : 신고 수목병리학 (향문사)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