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KILLER

반응형

국내 주요 식엽성 해충
국내 주요 식엽성 해충

식엽성 나방류(moth)

1. 나비목에는 나방류가 90%를 차지함

2. 나방은 대부분 야행성, 유충은 농작물에 큰 피해를 주는 주요해충임.

3. 나방류에는 식엽성 해충, 천공성 해충, 종실해충 등으로 나뉨

주머니나방류(bagworm)

1. 잎과 수피로 주머니 같은 집을 만들어 살면서 그 안에서 교미함.

2. 유충은 7월에 탈출하여 잎을 식해함

3. 엽맥 사이에 구멍을 뚫고, 나뭇가지에 주머니를 만들어 매달려 유충 혹은 성충으로 월동한다. 

4. 남방차주머니나방(주머니나방), 차주머니나방, 검정주머니나방이 있다.

5. 40여 종 이상의 낙엽 및 상록활엽수와 삼나무, 편백, 낙우송의 잎을 먹는다.

6. 방제법 : 천적을 보호, 발생초기에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수화제 살포.

굴나방류(lyonetid)

1. 잎 표피세포 밑으로 굴처리 파고 들어감

2. 엽육만 먹고 표피와 엽맥을 남겨 피해 부위가 흰색으로 변함.(심하면 조기낙엽)

3. 은무늬굴나방 : 사과나무, 자두나무, 복사나무, 배나무 등 과수에 피해와 벚나무, 자작나무, 산사나무류를 가해

4. 방제법 : 발생초기에 메톡시페노자이드, 디프수화제를 2~3회 살포한다.

잎말이나방류(leaf roller)

1. 유충이 거미줄로 잎을 말아 그 속에서 살면서 잎을 식해 한다.

2. 매실애기잎말이나방, 오리나무잎말이나방, 네줄잎말이나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3. 벚나무류, 사과나무, 배나무, 버드나무류, 자작나무류, 전나무, 가문비나무류 등 20여 종 가해

4. 방제법 : 새순이 나올 때, 클로르푸루아주론 액상수화제, 비펜트린 유제 등을 살포

명나방류(pyralid moth)와 집나방류(ermine moth)

1. 유충이 거미줄로 잎을 묶어 벌레집을 짓고 모여 살며, 9종 가량이 수목을 가해함

2. 회양목명나방(Glyphodes perpectabilis)은 연 2회 혹은 3회 발생, 월동하던 유충이 4월 하순부터 가지에 거미줄을 치고 잎을 가해, 8월에 다시 나타나서 피해가 큼

3. 복숭아명나방(Dichocrocis punctiferalis)은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구상나무, 개잎갈나무 등 침엽수의 잎을 가해하는 침엽수형과 밤나무, 복사나무, 자두나무, 배나무, 사과나무, 상수리나무 등의 열매를 가해하는 활엽수형으로 나뉜다.

4. 방제법 : 거미, 무당벌레, 풀잠자리, 좀벌, 맵시벌, 기생파리 등 천적보호, Bt균과 핵다각체 바이러스 활용하여 방제,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클로르페나피르 유제 등을 10일 간격으로 2회 살포한다.

쐐기나방류(cochid)

1. 유충의 몸이 굵고 짧으며, 번데기가 딱딱한 껍질을 가진다.

2. 극모(독침)를 가지고 있어 인체에 염증을 유발함

3. 어릴 때에는 잎살만 먹지만 자라면서 잎 전체를 가해함

4. 노랑쐐기나방(Monema flavescens)은 단풍나무, 벚나무, 느릅나무, 참나무류, 버드나무류, 포플러류, 밤나무, 과수류 등 20종 이상의 수목을 가해

5. 방제법 : 겨울철에 고치를 제거, 천적인 기생벌을 보호, 유충 발생기에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클로란트라닐리프롤 입상수화제 등 살포

불나방류(tiger moth)

1. 불빛에 유인되어 밤에 활동, 국내 30여 종이 알려져 있음

2. 미국흰불나방의 피해가 가장 크다. (활엽수를 가해하는 잡식성 해충)

- 피해수종 : 포플러류, 버즘나무, 벚나무, 단풍나무 등, 먹이가 부족하면 초본류도 먹음

- 연 2회 발생, 번데기로 월동하여 성충이 우화 한 후 600개의 알을 낳아 1화기 유충이 5~7월까지 잎을 먹는다.

- 초기에 실을 토해 잎을 싸고 모여 살다가 후에 흩어져서 잎맥만 남기고 모두 먹어 그물처럼 만듦

- 2화기 유충이 8~10월까지 다시 잎을 먹어 더 큰 피해를 준다.

- 페로몬을 이용해 예찰할 수 있다. 

- 방제법 : 애벌레가 집단생활을 하는 초기에 제거하고,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 플루벤디아마이드 액상수화제를 살포

밤나방류(Miller moth)

1. 나방류에서 가장 많은 종을 차지한다.

2. 국내 500여 종 중에서 16종이 과수를 포함하여 다양한 활엽수를 가해함

3. 큰붉은잎밤나방(연 2회 나타나서 무궁화, 복사나무, 자두나무, 사과나무를 가해)

4. 배저녁나방(벚나무, 참나무류, 포플러류, 버드나무류, 밤나무류, 뽕나무류, 진달래류, 장미나무류, 각종 과수류 가해)

5. 방제 : 유충 발생기에 페니트로티온 유제, 에토펜프록스 유제 등 적용 약제를 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한다.

독나방류(tussock moth)

1. 독침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에서 8종이 수목을 가해함

2. 매미나방

- 돌발적으로 발생하는 곤충

- 수컷이 밤낮으로 암컷을 찾아다녀 짚시나방이라고도 불림

- 침엽수, 활엽수, 과수, 관상수 등 25종 이상의 수목을 가해하는 해충.

- 연 1회 발생하며 알로 줄기에서 월동함

- 유충은 4월 중순부터 두 달간 짧은 기간에 잎을 먹으며, 거미줄에 매달려 바람을 타고 멀리 간다. 

- 줄기에 산란한 난괴를 4월 이전에 채집하여 소각한다.

- 천적으로 Bt균, 벼룩좀벌, 맵시벌, 딱정벌레, 노린재가 있다. 

솔나방류(Eggar)

1. 도토리나방

- 주로 참나무류를 가해한다. 

2. 텐트나방(천막벌레나방)

- 참나무류, 버드나무류, 밤나무, 포플러, 벚나무, 장미, 과수 등 활엽수 가해

- 연 1회 발생, 유충이 모여 살면서 가끔 대발생하여 가로수와 참나무림에 큰 피해를 줌

3. 솔나방(Dendrolimus spectabilis)

- 보통 송충이로 불리며, 소나무과의 모든 나무를 가해함

- 연 1회 발생, 5령충으로 월동한 유충이 잎을 먹고 7월 번데기를 만든다.

- 성충이 8월에 산란하고 유충이 다시 잎을 먹어 유충기간이 320일로 길어 피해가 큼

- 부화유충기인 8월에 산란하고 유충이 다시 잎을 먹어 유충기간이 320일로 길어 피해가 크다.

- 부화유충기인 8월에 비가 많이 오면 사망률이 높아짐

- 방제 : 유아등을 설치하고, 4월 9월에 비티쿠르스타키 수화제, 페니트로티온 유제 등 약제를 살포하거나, 4월에 아바멕틴 유제를 수간주사한다.

잎벌레류(leaf beetle)

1. 풍뎅이류 중에서 가장 흔한 곤충

2. 유충과 성충이 농작물의 잎을 먹어 식각한 해충 (다른 병을 옮기기도 함)

3. 종에 따라서 잎을 먹거나, 잎에 굴을 형성하거나, 뿌리를 먹거나, 줄기를 뚫는다.

4. 국내에서는 오리나무잎벌레 (오리나무, 박달나무, 밤나무, 서어나무, 피나무, 사과나무, 배나무, 벚나무, 뽕나무류, 사시나무, 버드나무류 등을 가해)

5. 유충과 성충이 잎살만 먹어 잎이 붉게 변함

6. 활엽수가해(버들꼬마잎벌레, 사시나무잎벌레, 버들잎벌레, 호두나무잎벌레)

7. 방제 : 디플루벤주론 수화제, 클로르플루아주론 유제를 7~10일 간격으로 살포

잎벌류(sawfly)

1. 몸길이가 14mm보다 작은 벌로서, 조경수 해충으로 10종이 알려져 있음

2. 유충기에 잎을 식해함 (활엽수 잎의 가장자리부터 갉아먹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임

3. 잣나무넓적잎벌

- 연 1회 발생해 잣나무 가해

4. 장미등에잎벌

- 장미, 찔레, 해당화 가해

5. 극동등에잎벌

- 연 3~4회 발생

- 진달래, 영산홍

6. 개나리잎벌

- 연 1회 발생해 개나리 가해

7. 참나무잎벌

- 연 3회 발생해 참나무류 가해

8. 솔잎벌

- 연 2~3회 발생해 소나무류(소나무, 곰솔, 잣나무)와 낙엽송을 가해하여 피해가 크다.

9. 방제 : 유충기에 클로란트라닐리프롤 입상수화제 등 적용 약제를 살포함, 기생봉(기생파리, 기생벌)과 포식성천적(풀잠자리, 무당벌레, 거미)을 보호

풍뎅이류(chafer 혹은 beetle)

1. 유충기에 땅속에서 굼벵이로 자라면서 잔디와 수목의 뿌리를 먹고, 성충이 되면 활엽수의 잎, 눈, 꽃을 가해함

2. 잎에 작은 구멍을 만들거나 엽맥만 남기고 식해

3. 연 1회 발생

4. 주둥무늬차색풍뎅이, 풍뎅이, 애우단풍뎅이, 애청동풍뎅이가 활엽수의 잎을 식해, 구리풍뎅이는 삼나무, 편백, 낙엽송을 가해

5. 굼벵이는 비가 자주 오면 생존율이 높아진다. 

6. 방제

- 새, 두더지, 뒤쥐 등이 굼벵이를 먹는다. 

- 양묘장에서 산란 기회를 줄이기 위해 잡초를 제거

- 토양훈중으로 카보퓨란 입제, 에토프로포스 입제를 10a당 6kg 살포

- 성충 발생 시 유기인계 농약을 사용하고, 알을 포식하는 거미류, 무당벌레, 풀잠자리를 보호

 

무당벌레류(ladybug, ladybird, lady beetle)

1. 유충과 성충이 진딧물, 깍지벌레, 응애, 나방의 알 등 다른 곤충을 잡아먹는 유용한 곤충.

2. Epilachninae아과에 속하는 무당벌레는 잎을 가해하여 산림해충에 속함

3. 무당벌레 알 속에 알을 낳는 천적인 먹좀벌의 숫자가 줄어들면 대량으로 늘어나 피해가 커진다.

4.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가 잎 뒷면에서 엽맥만 남기면서 먹어 그물 모양으로 만들어 놓는다.

5. 방제 : 델타메트린 유제, 카바릴 수화제를 살포한다.

거위벌레류(leaf-cut weevil)와 벼룩바구미류(jumping weevil)

1. 잎을 말면서 잎에 구멍을 만들며,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밤나무, 오리나무를 가해한다.

2. 벼룩바구미류는 바구미과에 속하며, 뒷다리가 발달하여 벼룩처럼 잘 뛰는 것이 특징이다.

3. 느티나무벼룩바구미(Rhynchaenus sanguinipes)는 느티나무 가해

4. 떡갈나무벼룩바구미는 참나무류와 밤나무를 가해

5. 성충과 유충이 모두 잎살을 먹음, 유충은 잎 속으로 잠입하여 잎을 갈색으로 변색시키며, 연 1회 발생한다. 5~6월 엽맥만 그물처럼 남는데, 나무를 죽이지는 않지만 경관을 크게 해친다. 

6. 방제 : 성충발생기(5월 중하순)에 이미다클로프리드 분산성액제를 수간주사하거나 잎에 뿌려준다.

대벌레류(walking stick, stick insect)

1. 식물의 줄기(대), 납작한 잎, 나무껍질을 닮았으며 몸길이 10cm 정도로서 보호색을 가진 의태곤충이다. 

2. 날개가 없어 멀리 퍼지지 못함

3. 낙엽층에서 봄에 알에서 부화한다.

4. 약충과 성충이 관목과 교목의 잎을 먹고살며, 2년에 한 세대를 완성한다. 

5. 참나무류, 밤나무, 느티나무, 벚나무, 사과나무, 살구나무, 감나무, 아까시나무 등을 가해

6. 심각한 해충은 아님

 

 

참고서적 : [전면개정판] 조경수 식재관리기술(이경준, 이승제)

 

나무의사 기출문제 해설 바로가기
나무의사 기출문제 해설 바로가기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