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공은 어떤 원리로 열리고 닫히는가?
정답 아침에 해가 뜨면 공변세포 내의 수소이온(H⁺)이 밖으로 나가고 대신 칼륨이온(K⁺)이 들어오며, 전분이 분해되고 말산이 생산되어 삼투압이 높아짐으로써 주변에서 수분을 흡수하여 공변세포가 팽팽해지면서 기공이 열린다. 설명 서로 마주 보고 있는 두 개의 공변세포(guard cell)에 의하여 생기는 구멍으로서 공변세포가 수분을 흡수하면서 팽창하면 열린다. 공변세포는 안쪽의 세포벽이 두껍고, 바깥쪽의 세포벽이 얇다. 수분을 많이 흡수하면 안쪽의 세포벽은 거의 늘어나지 않고, 바깥쪽의 세포벽이 더 많이 늘어나면서 복판에 구멍(기공)을 만든다. [기공이 열리는 현상] - 공변세포는 항상 엽록체를 가지고 있어서 광합성을 할 수 있다. 1) 아침에 해가 뜨면 공변세포 막에 있는 H⁺ -ATPase 효소가 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