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서] 햇빛과 광합성 3
7.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광도 (1) 광보상점과 광포화점 ▶ 광보상점 : 암흑 상태에서는 호흡작용만 함으로써 CO₂를 방출하며, 서서히 광도가 증가하면 광합성을 시작하면서 CO₂를 흡수하기 시작한다. 어떤 광도에 도달하면 호흡작용으로 방출되는 CO₂의 양과 광합성으로 흡수하는 CO₂의 양이 일치할때는 광보상점이라 한다. - 수종에 따라 다르다. - 한 개체 내에서도 잎의 종류(양엽, 음엽 등)에 따라 다르다. - 온도에 따라 다르다. - 소나무류는 음수인 단풍나무보다 약 9배 높은 광도에서 광보상점에 도달한다. ▶ 광포화점 : 광보상점 이상으로 광도가 증가하면 광도가 증가하는 만큼 광합성량이 비례적으로 증가하다가, 어느 지점에 오면 광도가 증가해도 더 이상 광합성량이 증가하지 않는 포화상태의..